5년 끌어온 대구 팔공산 구름다리 결국…‘뜬구름’ 됐다

Է:2020-12-22 14:53
:2020-12-22 14:57
ϱ
ũ
대구 팔공산 구름다리 조감도. 대구시 제공

대구 팔공산 구름다리 사업이 무산됐다. 대구시가 갈등 해결에 실패하면서 5년 동안 끌어온 사업을 포기하게 된 것은 물론 수십억원의 국비까지 반납하게 됐다.

대구시는 전국 최장 타이틀을 걸고 추진하던 팔공산 구름다리 사업을 철회한다고 22일 밝혔다. 조계종이 “수양에 방해 된다”는 이유로 대구시 사업을 반대한 것이 결정적인 요인이 됐다. 구름다리 건설 사업에 필요한 부지 일부가 팔공산 동화사 소유다. 동화사는 조계종 소속인데 조계종 소유 부지의 매입이나 사용 승인 없이는 사업 추진이 어렵다.

조계종 측은 지난 8일 구름다리 설치사업 철회 요청 공문을 대구시에 보냈다. 대구시는 그동안 동화사가 사업을 반대하지 않는다며 사업 강행 의사를 밝혀왔는데 사업을 시작하기 위한 마지막 절차인 사업자 계약을 앞두고 갑자기 조계종 측에서 제동을 걸었다. 이에 구름다리 사업에 찬성하는 팔공산 상인들이 동화사에서 항의 집회를 벌이는 등 또 다른 갈등이 빚어지기도 했다. 대구시는 조계종 설득에 나섰지만 조계종 측은 입장을 바꾸지 않았다.

팔공산 구름다리 사업은 팔공산 정상의 케이블카에서 낙타봉까지 폭 2m, 길이 320m 규모의 다리를 설치하는 것이다. 대구시는 교통약자 관광 서비스 제공, 지역 관광 활성화를 위해 2015년부터 이 사업을 추진했다. 2017년 기본 실시설계 용역을 추진하며 사업을 본격화 했는데 환경 보호 등을 주장하는 시민사회단체들이 강하게 반발했다. 이후로도 대구시와 시민사회단체들의 갈등은 계속 이어졌다.

대구시는 지난해 5월 구름다리 건설 찬반을 묻는 대구시민원탁회의를 열었다. 당시 투표에서 60.7%의 찬성표가 나왔다. 구름다리 건설에 반대하는 시민단체와 학계에서 참여하지 않아 공정성 논란이 있었지만 대구시는 투표 결과를 명분 삼아 다시 사업을 추진했고 지난달 공사 입찰 공고도 냈다. 하지만 결국 조계종이 대구시 발목을 잡았다.

대구시는 조계종의 반대로 사업을 지속할 수 없다고 보고 국비 25억원을 반납하기로 했다. 나머지 국비 45억원(균특 전환금)은 목적에 맞게 다른 용도로 사용할 예정이다. 당초 이 사업에는 180억원의 예산이 투입(국비 70억원, 시비 110억원)될 예정이었다.

박희준 대구시 문화체육관광국장은 “마지막까지 조계종 측을 설득했지만 입장을 바꾸지 않아 더 이상 사업을 추진할 수 없게 됐다”며 “사업을 유보해 다시 추진하는 방안도 검토 됐지만 새로운 갈등 유발, 시민 피로감 누적 등의 부작용이 생길 수 있어 철회하는 것으로 결정했다”고 말했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