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외교부는 7일 비건 부장관이 3박 4일간의 일정으로 8일 방한해 한·미 고위급 협의를 한다고 밝혔다. 비건 부장관은 9일 카운터파트 최종건 외교부 제1차관과 한·미 외교차관 회담을 갖는다. 이어 이도훈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을 만나 한·미 북핵 수석대표 협의를 진행한다. 11일에는 강경화 외교부 장관 주재로 열리는 격려 만찬에도 참석할 예정이다. 이인영 통일부 장관과의 면담도 잡혀있다. 정부는 미국의 대북정책 기조 변화가 예상되는 상황에서 비건 부장관이 트럼프 정부의 ‘싱가포르 합의’ 등 기존 성과가 차기 행정부로 잘 계승될 수 있게끔 하는 역할을 해달라고 당부할 것으로 보인다.
비건 부장관 역시 정권교체기의 방문인 만큼 북·미 비핵화 협상 등 민감한 현안 논의 대신 한반도 상황 관리 차원의 메시지를 낼 것이란 관측이 제기된다. 신범철 한국국가전략연구원 외교안보센터장은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의 도발을 억제해왔다는 점을 대북 외교의 치적으로 내세웠다”며 “트럼프 행정부 임기 내 북한의 도발을 막고 한반도 상황을 안정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방한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현재 한·미 대북 전문가들 사이에선 북한이 바이든 행정부의 관심을 끌기 위해 무력시위에 나설 수도 있다는 우려가 계속 나오고 있다. 비건 부장관은 이번 방문 일정 중 별도의 연설 계획도 짜놓은 것으로 알려졌는데, 이때 북한의 무력시위 자제를 요청하는 내용의 대북 메시지를 내놓을 것으로 보인다.
북한은 비건 부장의 방한 일정과 관련해 어떠한 메시지도 내놓지 않고 있다. 지난 7월 비건 부장관의 방한을 사흘 앞두고 최선희 외무성 제1부상 명의의 담화문을 발표한 것과 비교하면 대조적이다. 당시 최 제1부상은 “북·미 대화를 저들의 정치적 위기를 다뤄 나가기 위한 도구로밖에 여기지 않는 미국과 마주 앉을 필요가 없다”고 밝혔다.
손재호 기자 sayho@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