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형 공공배달앱 내년 선보인다

Է:2020-12-02 11:57
ϱ
ũ

광주경제고용진흥원이 연말까지 평가 거쳐 사업자 선정


‘광주형 공공배달앱’이 내년 7월부터 본격 운영된다. 코로나19 영향으로 크게 증가한 배달음식 수요와 온라인 비대면 소비에 따라 소상공인들의 수수료 부담을 덜기 위한 것이다.

광주시는 2일 “지역화폐와 맞물린 광주형 공공배달앱을 구축해 내년부터 운영한다”고 밝혔다. 독과점 체제나 다름없는 배달앱 시장을 정상화하고 음식점 주인 등 소상공인들의 과도한 수수료 부담을 해소하는 차원이다.

시가 추진 중인 광주형 공공배달앱은 민간부문 전문성과 공익적 요소를 결합한 민관협력형이다. 소상공인 중개수수료와 광고비 절감, 전통시장 디지털화를 통한 온라인 판로개척, 지역경제 활성화가 목표다.

시는 이를 위해 광주경제고용진흥원을 수행기관으로 지난달 사업자 공고를 했다. 이어 연말까지 평가작업을 거쳐 사업자 계약 체결을 마칠 계획이다.

광주형 공공배달애은 내년 1월 시스템 개발과 4월 시범운영을 거쳐 7월부터 본격 시행된다.

광주형 공공배달앱은 코로나19 장기화 이후 배달주문 의존도가 높아진 소상공인은 물론 전통시장, 소비자를 대상으로 3%이하의 낮은 중개수수료를 책정한다. 이와 함께 지역상품권을 활용한 결제가 가능하고 가입비와 광고료가 없다는 것이 특징이다.

현재 국내 1·2위 배달앱 수수료는 6.8%(배민), 12.5%(요기요)로 배달음식 등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월등히 높아 소상공인들의 반발을 사고 있다.

이에 따라 시는 광주형 공공배달앱이 정착되면 소상공인과 전통시장 상인의 경영부담을 완화하고 매출증대에도 적잖은 도움을 주게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공공배달앱은 지난 3월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전국 최초로 ‘배달의 명수’를 출시한 전북 군산을 시작으로 서울, 대구, 대전, 울산, 경북, 충북, 부산 남구, 인천 서구, 여수, 춘천, 시흥, 제천 등으로 확산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대부분 가입비와 중개수수료, 광고료가 없는 이른바 ‘3부’ 배달앱을 운영하거나 도입을 검토 중이다.

지난 1일에는 경기도의 ‘배달특급’이 8개월여의 준비를 거쳐 시범지역인 화성 오산 파주 3곳에서 가동에 들어갔다. 우선 4800여개의 가맹점을 대상으로 운영되고 있다.

경기도는 내년 하반기까지 도내 27개 시·군으로 이를 확대하고 2022년에는 31개 지자체 전체에서 앱이 운영되도록 할 방침이다.

광주지역 소상공인연합회 관계자는 “수수료와 광고료 부담을 낮춘 광주형 공공배달앱은 배달앱 시장의 합리적인 수수료 인하 와 함께 공정 경쟁을 촉발하고 소비자들에게 간접적 할인혜택도 제공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