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전시는 대전형 아이돌봄 ‘온돌(온 마을 돌봄) 프로젝트’를 통해 지역 내 돌봄 공백 현상을 대폭 완화했다고 1일 밝혔다.
대전시에 따르면 지역 내 아이돌봄 정책의 중심인 원스톱통합지원센터 ‘손·오·공’이 지난 6월 개소했다. 손·오·공은 ‘손’을 맞잡고 ‘오’순도순 ‘공’들여 함께 키운다는 의미가 담겼다.
센터는 현재 마을별 돌봄센터와 프로그램 정보를 한 곳으로 집약하는 ‘아이돌봄 정보 통합플랫폼’을 구축하고 있다. 내년 상반기 플랫폼 구축이 완료되면 돌봄인프라를 통합 지원하게 된다.
영유아 및 초등돌봄의 사각지대를 해소하기 위한 서비스도 마련됐다.
초등돌봄을 위한 다함께돌봄센터의 경우 3곳을 신규 설치해 총 5곳이 운영되고 있다. 내년에는 10곳을 설치하는 등 교육청과 돌봄 협업모델을 함께 운영한다는 계획이다.
올해 2곳이 확충되며 총 6곳을 운영 중인 공동육아나눔터는 내년 2개소가 더 늘어날 전망이다. ‘아이돌봄 지원사업’ 서비스 제공 기관 역시 2곳에서 5곳으로 늘려 서비스의 질을 높인다.
영유아 돌봄 확대는 2022년까지 국공립 어린이집 100곳을 추가로 늘려 대응한다는 복안이다.
0세 전용 어린이집 10곳, 국공립어린이집 12곳을 확충한 시는 현재 0세 전용 어린이집 2개소와 장난감 도서관 2개소를 설치 중이다.
이중 장난감 도서관은 하나은행과의 업무협약을 통해 설치장소와 임대료, 관리비를 무상으로 지원받으며 예산절감·영유아 성장발달 지원 등의 효과를 거둘 것으로 예상된다.
시는 특히 전국 최초로 ‘아동학대 예방 선도도시’를 선포하고 민·관협치 대응체계를 구축했다.
지난 9월 시와 대전시교육청, 대전지방경찰청, 아동보호전문기관 및 한국편의점산업협회 등 8개 기관과의 협약을 통해 현재 대전 지역 편의점·약국 등 1872곳이 아동학대 신고처로 운영되고 있다.
이밖에 대전시티즌·중외제약 등이 물품지원 및 재능기부를 통해 학대피해 아동 지원에 참여했으며, 지난달 개최된 민·관 실무협의회에서는 지역사회가 함께하는 아동학대 예방 관련 논의가 진행됐다.
지역 돌봄과 관련된 자세한 사항은 대전시 콜센터와 다함께돌봄 원스톱통합지원센터, 대전시 가족돌봄과 등에 문의하면 된다.
대전시 관계자는 “아이 돌봄의 개념이 기존의 공간 위주 돌봄에서 ‘마을공동체가 함께 돌봄을 책임진다’는 패러다임으로 변화할 필요가 있다”며 “지역 사회가 함께하는 돌봄으로 아이들이 보다 안전하고 행복하게 자랄 수 있도록 만들겠다”고 했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