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많은 이들이 두려워하는 질병 중 하나인 치매. 다만 치매로 인한 사망은 전체 사망 원인 중 5% 정도로 상대적으로 높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왔다.
그런데 실제 치매로 인한 사망률이 이의 3배 정도 되며 전체 사망 원인 중 6번째에 해당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메디컬 뉴스투데이가 7일(현지시간) 미국 보스턴대 보건대학원의 앤드루 스토크스 인구보건학 교수 연구팀의 연구 결과를 보도했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 의사협회 저널 신경학(JAMA Neurology) 최신호에 발표됐다.
연구팀은 양로원에서 생활하는 노인(70~99세)을 대상으로 한 ‘은퇴-건강 연구’(Health and Retirement Study) 자료를 분석한 결과 알츠하이머 치매, 혈관성 치매 등 모든 형태의 치매에 의한 사망률을 13.6%로 추산했다.
이는 사망진단서에 치매가 사망 원인으로 기록된 5%의 2.7배 수준이다.
백인의 경우는 원사인(underlying cause of death)이 치매로 기록된 사례가 5.2%지만 실제 치매에 의한 사망률은 12.2%로 2.3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흑인(7.1배)이나 라틴계(4.1배)는 이 격차가 더욱 큰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팀은 치매가 사망 원인인데도 의사들이 이를 간과한 데는 여러 이유가 있다고 설명했다.
우선 치매 환자가 사망했을 때 환자는 치매가 일차적 사망 원인임을 간과하게 만드는 다른 동반 질환(comorbidity)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즉 치매가 아닌 폐렴, 심혈관 질환, 패혈증 같은 당장 눈에 보이는 중복 질환이 사망 원인으로 기록된다는 것이다.
치매에 대한 사회적 오명(stigma)이 치매 진단을 방해하는 것도 한 요인으로 지목됐다. 치매 진단을 기피하다 보니 치매로 인한 사망률을 낮추는 요인이 됐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치매에 의한 사망률이 교육 수준과도 관련 있다고 봤다. 대학을 졸업한 사람은 치매 사망률이 9.8%, 교육 수준이 그 이하인 사람은 16.2%로 분석됐다.
2019년 현재 미국의 65세 이상 치매 환자는 560만명으로 추산된다. 이 중 80%가 알츠하이머 치매, 10%는 혈관성 치매 환자다.
조민영 기자 mymin@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