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남도와 도교육청이 ‘작은 학교 살리기’를 위해 팔을 걷어붙인다. 지역민과 학생이 줄어들고 있는 마을과 작은 학교를 활성화하기 위해 전국 최초로 시도하는 행정자치·교육자치 통합행정 사업으로 주목받고 있다.
7일 경남도 등에 따르면, 이번 프로젝트는 도와 교육청이 협력해 전국의 초등학생 자녀를 둔 학부모들을 우리 지역으로 이주 시켜 마을과 학교를 살리는 사업이다.
이번 사업에는 학교장을 비롯한 교사, 학생, 동창회, 학부모, 지역민, 군 관계자 등이 참여하는 사업추진위원회를 꾸려 추진한다.
우선 고성군 영오초등학교와 남해군 상주초등학교에 30억원을 들여 ‘경남 작은 학교 살리기 프로젝트’를 시범 운영한다.
이를 위해 경남도와 도교육청, 해당 학교와 군은 전국 초등학생 자녀를 둔 학부모들이 부담 없이 이주할 수 있도록 다양한 인센티브를 제공한다.
도와 군은 임대용 공동주택을 건립해 제공하고, 빈집을 활용한 주택 지원책도 펼친다. 농어촌 살리기 사업과 연계한 귀농·귀촌 프로그램을 지원하고 다양한 일자리를 알선하는 등 이주 학부모들의 정주 여건 조성에 힘을 보탠다.
도교육청과 학교는 교육비를 전액 무상으로 지원하고 학생 수요를 반영한 방과 후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생태체험교육과 교육 공동체가 공감하는 학교 공간 재구조화 사업, 지자체와 함께하는 돌봄 운영, 작은 학교만의 특색 있는 맞춤형 교육을 운영한다.
학생·학부모 모집 설명회는 오는 10~11월쯤 고성 영오초와 남해 상주초에서 열린다.
김경수 지사는 “교육청과 머리를 맞대 추진하는 작은 학교 살리기 사업은 경남 3대 핵심과제 중 청년·교육 인재 특별도 조성과 일치한다”며 “이주한 청년들이 살 수 있는 삶터·일터를 만들어주고, 학교는 마을 공동체 거점이 돼 지역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이룰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박종훈 교육감은 “두 기관이 전국 최초로 공동 추진하는 작은 학교 살리기 사업은 마을과 학교의 상생을 위해 매우 중요한 일”이라며 “지역에 기반한 학생의 건강한 성장 지원에 정성을 다하겠다”고 했다.
도 와 교육청은 올해 시범 사업을 마무리한 뒤 내년부터 공모 방식으로 사업을 확대 추진할 예정이다.
창원=이영재 기자 yj3119@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