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관공서를 지켜라’
광주지역 행정·치안을 담당하는 관공서들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침투를 막기 위해 초비상이다. 코로나19를 저지하는 최후의 보루를 지키자는 것이다.
광주시는 “부서별 직원 20% 범위에서 자율적으로 실시하던 재택근무 체제를 9월1일부터 30%로 확대했다”고 3일 밝혔다. 업무특성상 현장근무가 필수적인 방역부서 등을 제외하고 전 부서에 대해 재택근무를 늘리도록 조치한 것이다.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라 획일적인 공무원들의 근무 방식이 안전하고 효율적인 복무체계로 바뀌면서 비대면 화상회의도 늘고 있다. 시는 공무원들이 PC로도 자유로운 화상회의를 할 수 있도록 PC카메라 설치 등 필요한 근무시스템 구축을 서두르고 있다.
시는 업무전화 착신전환, 정부 원격근무서비스(GVPN) 설치·운영, 재택근무 세부 지침 등을 통해 업무공백을 최소화한다는 방침이다.
이와 함께 시 산하기관들도 재택근무 확대, 시차출퇴근제, 근무유연제 등을 활용해 근무밀집도를 최대한 완화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근무시간과 근무일을 변경하거나 선택·조정해 혹시 모를 코로나19 감염확산의 고리를 끊자는 것이다.
광주도시철도공사는 가장 먼저 50% 재택근무에 돌입했다. 코로나19 확산방지 대응상황반을 구성한 도시철도공사는 이날부터 통상근무자의 절반에 대해 재택근무하도록 했다. 사옥 내 외부인 출입도 금지하고 구내식당 집합제한을 실시하는 등 어느 때보다 강도 높은 대응을 펼치고 있다.
도시철도공사는 ‘시민의 발’인 지하철 운행이 멈추는 것을 막기 위해 직원들의 재택근무와 함께 전방위적인 ‘사옥 통제’를 실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철저한 출입자 관리와 쉼터·카페 등의 폐쇄와 축소 운영은 불문가지다. 다수의 민원인들이 찾는 관공서가 코로나19에 뚫릴 경우 연쇄적 사무실 폐쇄와 집단감염이 불가피하고 방역업무가 통째 마비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광주시뿐 아니라 광주경찰청과 일선 자치구, 경찰서 등은 코로나19 확산방지를 위해 발열체크와 출입자 명부 관리 등에 혈안이다.
대부분 관공서는 그동안 1층에서 민원인 등을 위해 운영하던 ‘카페’ 테이블과 의자 등을 아예 치우고 민원인 쉼터 공간을 대폭 축소하고 있다.
광주경찰청은 지난달 25일 청사 내 1층 카페의 테이블과 의자 등을 모두 치웠다. 광산경찰서와 서부경찰서 등도 지난달 말부터 1층 카페의 운영을 중단하는 등 휴게공간을 없애거나 크게 줄였다.
반면 관공서 출입자에 대한 방역관리는 한층 강화됐다.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을 경우 출입을 무조건 제한하고 출입자 명단은 인적사항과 연락처 등을 꼼꼼히 작성토록 하고 있다.
하지만 광주 광산구 수완동 행정복지센터가 지난 2일 코로나19 확진자 방문에 따라 잠정 폐쇄되는 등 관공서가 코로나19로 인해 문을 닫는 사례도 적잖게 발생하고 있다. 수완동 주민들은 민원업무를 위해 인근 신창동 행정복지센터을 찾는 불편을 겪고 있다.
이용섭 광주시장은 “광주시청사 등 관공서가 코로나19로 문을 닫으면 방역 콘트롤타워가 무너져 걷잡을 수 없는 혼란을 겪게 될 것”이라며 “광주시정을 비대면과 온라인 병행 시스템으로 전면 전환하고 재택근무를 확대할 것”이라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