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위중·중증 환자가 정부의 예상치를 벗어나 급격하게 늘어나고 있다. 정부는 중증환자가 더 늘어날 것을 대비해 이달까지 병상 110개를 추가 확보하는 등 적극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윤태호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은 3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수도권 지역 내 감염병 전담병원의 병상은 지난주 대비 320여개를 확충했고 내일까지 77개를 추가로 확보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은 뒤 위중하거나 중증 이상 상태로 악화한 중환자는 총 154명이다. 그러나 전날 기준으로 전국의 중증환자 치료병상 518개 가운데 인력, 장비 등이 갖춰져 즉시 입원할 수 있는 병상은 43개에 불과하다.
수도권의 경우 즉시 가용병상은 10개지만 경기에서는 하나도 남아있지 않다. 대전, 강원, 충남, 전북 등 5개 시·도에서도 바로 사용할 수 있는 중환자 병상이 아예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윤 반장은 “중환자 전담 치료병원 지정을 통해 이달까지 110개의 중환자 치료병상을 추가로 확보하는 등 최근 늘어나고 있는 위중·중증 환자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국방부는 수도권 중환자 병상 확보를 위해 국군수도병원의 8개 병상을 중환자 병상으로 전환해 내일부터 사용한다”면서 “군의관 22명 등도 우선 파견해 병원, 생활치료센터 등 8개 기관을 지원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앞서 코로나19 치료 전문가로 구성된 ‘신종감염병 중앙임상위원회’는 9월 초까지 중환자가 130여명 발생하고 그 이후에는 감소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에 대해 이창준 중수본 환자관리반장은 “지금 상황으로 보면 위중·중증 환자가 150명을 넘어서 기존의 시뮬레이션을 조금 바꿔야 할 것 같다”며 “중환자의학회에서는 (중환자가) 더 많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는 얘기도 했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국립중앙의료원, 중앙임상위원회, 중환자의학회 등과 태스크포스(TF)를 만들어 중환자가 어느 정도 발생할지 분석을 다시 하고 중증도에 따른 재분류, 병상 추가 확보, 병상 전원 조치 등의 노력을 함께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정부는 수도권 주요 병원에 중환자 병상이 마련되면 즉시 전원시키고, 증상이 호전된 환자는 일반병상으로 옮기는 등 위중·중증 환자 관리에도 주력하고 있다.
이 반장은 “앞서 수도권에서 갑자기 늘어났던 환자들의 중증도가 계속 높아질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앞으로 며칠간은 중수본에서도 긴장감을 갖고 중환자 병상을 단기간에 더 빨리 마련할 수 있도록 관리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박상은 기자 pse0212@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