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 고양시는 출입자 본인이 휴대전화 발신을 통해 전화번호와 방문일시 등의 통화기록을 서버에 남기는 발신자 전화번호 출입자 관리를 도입했다고 3일 밝혔다.
고양시는 지난 2일부터 전통시장과 상점가의 QR코드 및 수기 대장작성의 출입자 관리방식에 이어 출입자 본인이 직접 휴대전화로 발신해 남기는 간편한 ‘발신자 전화번호 출입자 관리’ 방식으로 운영하고 있다.
그간 시는 QR코드와 수기 대장을 병행 추진했으나, QR코드 방식은 인터넷에 익숙한 젊은 계층은 선호했지만, 인터넷에 익숙하지 않은 계층과 2G 휴대전화기는 접속 불가, 데이터 사용, 인터넷 접속 후 동의 및 개인정보 입력에 과다 시간 소요 등에 문제가 발생했다.
또한, 수기 대장은 인터넷에 익숙하지 않은 계층이 선호했지만, 타인이 사용한 필기구 및 수기 대장 접촉과 가장 큰 문제인 기재한 개인정보에 대한 신뢰도 부족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전화번호 발신 기록을 남겨 출입자를 관리하는 방식은 간단한 방법으로 QR코드와 수기 대장의 이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시는 전통시장 출입구에 개인정보 수집·이용 및 목적 외 이용에 관한 안내 배너를 설치하고, 안내요원이 출입자에게 개인정보 수집·이용 및 목적 외 이용에 관한 사항을 전달하고 있다.
고양시는 일산·능곡·원당 등 전통시장 3곳과 일산서문 상점가 1곳 등 4곳을 대상으로 우선 운영하고, 대규모 점포부터 중소형 마트 및 일반음식점, 휴게음식점까지 확대 운영해 나갈 계획이다.
고양=박재구 기자 park9@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