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감염병 전문가들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한 중환자 수가 8월 말 정점에 달할 것으로 보고 중환자 병상 확보를 위한 대응에 나서고 있다. 감염이 집중된 수도권에서는 이미 추가 병상을 확보한데다 병상을 효율적으로만 배분하면 중환자 병상 부족 문제는 없을 것으로 내다봤다. 다만 대형병원이 많지 않은 지방에서는 중환자실 병상 확보가 쉽지 않아 보인다.
신종감염병 중앙임상위원회는 25일 서울 중구 국립중앙의료원에서 ‘코로나19 공동대응 상황실 및 신종감염병 중앙임상위원회 기자회견’을 열고 현재 수도권 코로나19 환자 발생과 병상배정 대응 상황에 대해 설명했다.
주영수 코로나19공동대응상황실장은 기자회견에서 “가장 많은 사람들이 중환자실에 입원해있는 상황은 오는 30일 전후라고 생각한다”고 전했다. 이는 코로나19 환자의 연령분포에 따른 중환자 발생률과 평균적으로 증상 발생 5일 후부터 중환자가 발생한다는 점 등을 고려한 결과다.
일일 신규 확진자 수가 지금 추세대로 유지될 경우 다음달까지 누적 중환자는 134명가량 될 것으로 추산됐다. 현재 중환자의학회가 추계한 수도권 중환자실 병상(85개)을 고려하면 향후 50여개가 더 필요한 것이다. 중앙임상위는 이날까지 서울대병원 등 상급종합병원들의 협조를 통해 서울·경기도에서 총 52개 병상을 추가 확보했다.
중앙임상위는 총 137개 중환자실 병상으로 향후 수도권 코로나19 유행에 대응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다만 중증 치료가 끝난 환자는 빠르게 일반병상으로 이동하고, 병원 입원이 불필요한 무증상·경증 환자는 생활치료센터에 배정하는 등 효율적 관리가 수반돼야 한다.
실제 수도권의 85개 중환자실 병상에 있는 환자 가운데 53명은 산소치료가 필요한 코로나19 중증도 이상 환자지만 나머지는 다른 질환의 중증도 등의 이유로 중환자실에 머물고 있었다. 이러한 경우를 줄여나가야 한다는 것이다.
또 중앙임상위는 현재 무증상·경증 환자 중 불필요하게 병원에 입원해있는 환자가 1000명에 달한다고 추산했다. 이러한 무증상·경증 환자를 생활치료센터로 보내고, 일반병상을 확보해둬야 중환자실 병상도 회전율이 높아진다.
증상이 호전돼 더 이상 산소치료가 필요 없는 중환자는 일반병상으로 이동해야 하지만 일반병상을 경증 환자들이 차지하고 있으면 이동이 어려워진다. 주영수 실장은 “코로나19공동대응상황실에서 매일 중환자실 병상의 필요 수준을 예측하고 실제 가용할 수 있도록 병원들과 논의하면서 진행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수도권보다 지방은 상황이 좀 더 어렵다. 주요 대형병원이 밀집한 수도권에서는 그만큼 중환자실 병상 수가 많지만 대형병원이 적은 지방에서는 추가 병상 확보도 쉽지 않다. 중앙사고수습본부에 따르면 전날 기준으로 광주(4개), 충남(8개), 전북(13개)은 중환자 가용병상이 모두 찼고 강원도는 10개 중 1개가 남아있는 상태였다.
전문가들은 근본적으로 중환자 발생을 억제할 수 있도록 방역 수칙과 사회적 거리두기를 잘 지켜달라고 당부했다. 오명돈 중앙임상위원장은 “지금 우리가 쓰고 있는 마스크의 확산 예방 효과보다 더 좋은 백신이 나오리라는 것도 보장하기 어렵다”며 “(백신이) 어느 정도 확산과 질병 중증도를 덜어주긴 하겠지만 오히려 장기적인 계획을 갖고 생활방역을 찾아가는 노력이 백신을 기다리는 것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최예슬 기자 smarty@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