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가 최근 장마철 집중호우로 포트홀 신고 건수가 급증한 가운데 모니터링단과 AI를 활용한 포트홀 저감 장단기 대책을 추진한다고 25일 밝혔다.
경기도 관내에서 올해 8월 1일부터 15일까지 포트홀 신고 건수는 5429건으로, 지난해 8월 한 달간 신고건수 2849건의 약 2배, 올해 7월 한 달간 신고건수 2939건의 약 1.8배에 달할 정도로 폭증했다.
이는 장마 기간 포장 균열부로 많은 양의 빗물이 스며들었고, 차량통행에 의한 수압 증대로 약해진 부위의 아스팔트 포장층이 떨어져 나간 데 따른 것으로 추정된다.
이같이 우기철 발생하는 포트홀을 방치할 경우, 차량이 파여있는 아스팔트 포장층을 지나가면서 조작에 어려움을 겪어 사고로 이어질 수 있어 신속한 발견과 긴급 보수가 매우 중요하다.
이에 경기도는 지방도를 관리하는 건설본부와 시·군도를 관리하는 시·군과 협력 체계를 구축했다. 우선, 경기도 31개 시·군에서 총 814명의 도민·택시운전사들이 참여하고 있는 ‘경기도 도로 모니터링단’을 통해 도로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해 포트홀 등 도로파손에 대해 제보를 받고 즉시 복구에 나서고 있다.
경기도는 단기적 도로 보수에 그치지 않고, AI를 활용해 예방적 도로포장 대책을 세운다는 방침이다. 지난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공동으로 개발한 ‘인공지능(AI)기반 PMS분석시스템’을 활용, 포장상태를 조사·분석함으로써 포트홀 발생이 빈번하거나, 도로파손이 자주 발생하는 구간에 맞춤형 도로포장 설계, 시공한다.
도는 이를 위해 ‘도로포장 유지보수 업무 혁신’을 위한 용역을 내년 4월까지 추진, 포트홀 발생의 주원인인 균열을 최소화하고 최적의 포장 보수공법 등을 제시해 적절한 예산 투입으로 포장파손 및 포트홀 등에 의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방안을 도출할 계획이다.
경기도 관계자는 “단기적으로는 포트홀 발견과 긴급복구에 집중하고, 예방적 대책으로 도로에 대한 집중관리, 최적의 포장정비 효과방안 도출에 힘쓸 것”이라며 “민관 협업 행정을 바탕으로 안전하고 쾌적한 도로환경을 만드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의정부=박재구 기자 park9@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