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거주자 외화예금이 사상 최대로 불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으로 경제 불화실성이 커지자 기업과 개인이 앞다퉈 달러 확보에 나섰기 때문이다.
한국은행은 24일 발표한 ‘7월 중 거주자 외화예금 동향’에서 지난달 말 기준 외국환은행의 거주자 외화예금 잔액은 874억 달러라고 밝혔다. 한 달 전보다 28억7000만 달러 늘어난 수치다.
거주자 외화예금은 내국인과 국내 기업, 국내 6개월 이상 거주한 외국인, 국내에 진출한 외국 기업 등의 국내 외화예금이다.
7월 말 외화예금 잔액(874억 달러)은 2012년 6월 해당 통계가 작성된 이후 최대 규모다. 6월(845억3000만 달러)에 이어 두 달 연속 기록을 갈아치웠다. 2012년 이전 외화예금 잔액이 지금보다 현저히 적었기 때문에 7월 말 잔액은 사실상 역대 최대다.
주체별로는 7월 기업예금(696억9000만 달러)이 한 달 새 25억6000만 달러 증가했다. 개인예금(177억1000만 달러)도 3억1000만 달러 늘었다.
개인 외화예금 증가분에는 해외 주식 직접투자(직구)와 관련된 달러 등 외화 예탁금도 포함됐다. 통화 종류로는 달러화 예금(762억2000만 달러)이 압도적으로 많다. 엔화 예금(44억4000만 달러), 유로화 예금(36억1000만 달러), 위안화 예금(16억2000만 달러) 순이다.
한은 관계자는 외화예금 증가에 대해 “달러화는 증권사의 투자자예탁금, 외화채권 발행대금 등을 중심으로 늘었다”며 “개인의 해외 주식 직접투자에 따른 외화 예탁금 증가도 영향을 미쳤지만 기업의 예탁금과 외화채권 발행대금 등이 더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고 설명했다.
김동우 기자 love@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