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은 20일 “가족의 일상에서는 ‘경쟁공화국’의 논리에서 벗어나지 못했다”고 말했다. 또 “강남좌파의 ‘강남성(性)에 대한 비판은 당연히 감수, 감내해야 한다”고도 했다. 자녀 교육 문제와 5촌 조카가 연루된 펀드 투자 문제에 있어서 비판적 성찰 없이 남을 좇았음을 어느정도 인정하는 내용이다.
조 전 장관은 페이스북에서 강수돌 고려대 교수의 신작 ‘경쟁공화국’을 언급했다. 그는 “평소 존경하는 강 교수님이 신간 경쟁공화국을 보내주셨다”며 “(신작 중) ‘조국 논란에서 두 가지 더 생각할 점’ 부분을 올린다”고 말했다. 이어 “지난해 기자간담회 및 인사청문회에서도 밝혔던 내 자신의 한계 지점을 잘 짚어주셨던 바, 다시한번 성찰한다”고 덧붙였다.
조 교수가 형광펜으로 강조해 올린 부분은 자녀 교육 문제와 펀드 투자 문제 부분이다. 강 교수는 인간 조국을 지지한다는 점을 전제로 “자녀 교육 내지 대학 입시와 관련 조 전 장관 가족들은 현 교육시스템의 문제와 모순을 알고는 있었겠지만 그 이상 몸부림을 치진 않은 듯 하다”고 썼다. 이어 “오히려 입시 평가에 도움이 되는 것이라면 가능한 한 많이 모으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 것 같다”며 “부모와 연결되는 사람이 있다면 가능한 한 많이 연결해 주고 싶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펀드 투자에 대해서는 “펀드에 돈을 빌려준 조국 가족은 현 경제 시스템이 어떻게 작동하는 지를 비판적으로 고찰하기보다 특별히 타인에게 해를 끼치지 않는 한 (5촌 조카의 권유에) 여윳돈을 불려보자는 생각을 한 것 같다”고 지적했다.
자녀 입시에 부모의 인맥·자본을 총동원하고, 돈이라면 일단 ‘불리고 보자’는 ‘강남성’과 ‘경쟁주의’에서 빠져나오지 못했다는 지적으로 해석된다. 조 전 장관은 “강남 좌파의 강남성에 대한 비판은 당연히 감수, 감내해야 한다…가족의 일상에서는 경쟁공화국의 논리에서 벗어나지 못했다”고 돌아봤다.
강준구 기자 eyes@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