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궤양이나 역류성식도염 치료에 흔히 쓰이는 위산 억제 약물을 복용 중인 사람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에 걸릴 경우 중증으로 진행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처음으로 나왔다.
특히 최근 1개월 내 위산 억제제를 지속 복용한 사람이 코로나19에 감염되면 중증 위험도가 79%까지 높아졌다.
다만 이 약물이 일반인의 코로나19 감염 위험 자체를 높이지는 않는다. 그러나 코로나19 감염 환자를 치료하는 의료진은 소화성 궤양 등 치료 약물을 면밀히 살핀 후 치료를 진행해야 함을 시사한다.
차의과학대 분당차병원 소화기내과 조주경·유인경 교수와 소아청소년과 연동건 전문의, 세종대 데이터사이언스학과 이승원 교수팀은 세계 최초로 위산 억제에 사용되는 ‘PPI(Proton Pump Inhibitor, 프로톤 펌프 억제제)’ 약물 사용과 코로나19와의 상관성을 밝힌 연구결과를 소화기학 분야 의학저널인 ‘거트(Gut)’ 최신호에 발표했다.
PPI는 위벽에 있는 ‘양성자펌프’를 불활성화시켜 위산 분비를 차단하는 치료제다. 역류성 식도염이나 소화성 궤양 등 소화기병에 가장 많이 사용한다.
연구팀은 2020년 1월 1일부터 5월 15일까지 국내에서 코로나19 검사를 받은 18세 이상 성인 13만2316명을 대상으로 최근 1개월 이내 PPI 사용 환자군(1만4163명), 과거 PPI 사용 환자군(6242명), PPI 비사용 일반인 대조군 (11만1911명)의 코로나19 중증 악화 위험도를 비교 분석했다.
그 결과 PPI 복용이 코로나 감염을 증가시키지는 않았다. 하지만 코로나19에 감염된 환자군(4785명)을 세부 분석한 결과 최근 1개월 이내 PPI 사용 환자군은 코로나19 감염 시 중환자실 입원, 인공호흡기 사용, 사망 등 중증으로 악화될 위험이 일반인보다 79% 정도 높았다. 반면 과거 PPI 사용 환자군은 코로나19 감염 시 중증으로 악화되지 않았다.
연구팀은 위산이 우리 몸에서 소화와 흡수를 돕는 역할을 하는데, PPI가 위장관 내 위산을 억제함으로써 인체가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에 취약하게 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또 PPI가 심장 폐 위장 등에서 코로나 바이러스 침투와 연관있는 세포막 단백질인 ‘ACE2’의 과발현과 연관돼 중증도를 높일 것으로 추정했다.
유인경 교수는 1일 “코로나19 확진자가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대규모 임상을 통해 위산억제제인 PPI 사용과 코로나 감염에 대한 연관성을 처음으로 규명했다는데 의의가 있다”며 “PPI 복용이 일반인의 코로나19 감염 위험성을 높이지 않기 때문에 기존 역류성식도염이나 소화성 궤양으로 치료받는 환자의 경우 안심하고 치료받을 수 있다. 하지만 의료진은 역류성 식도염이나 소화성 궤양으로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가 코로나19 감염 시 치료를 위해 이전 사용 약물을 반드시 살펴보고 더욱 각별히 치료를 진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민태원 의학전문기자 twmin@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