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명환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위원장을 비롯한 지도부가 24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위기 극복을 위한 노사정 합의안 부결에 따라 사퇴 의사를 밝혔다.
김 위원장은 이날 오후 서울 정동 민주노총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코로나19 위기 극복을 위한 원포인트 사회적 대화에 대해 짧은 시간이었지만 시대적 요구를 걸고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 위한 최종합의안 승인을 호소했지만 부결됐다”며 “임기가 5개월 남짓 남았지만 책임을 지고 위원장, 수석부위원장, 사무총장 직을 사퇴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김 위원장은 김경자 수석부위원장, 백석근 사무총장과 동반 퇴진하게 됐다. 2017년 말 직선으로 선출된 이들의 임기는 올해 말까지다.
민주노총은 오는 27일 비상대책위원회 구성을 위한 중앙집행위원회를 소집할 예정이다. 비대위는 새 지도부가 선출되는 올해 말까지 민주노총을 이끌어가게 된다.
김 위원장은 “민주노총 지도부로서 조합원, 각급 대표자들에게 제안했던 것은 최종안 승인 만이 아닌 민주노총의 사회적 위상으로 취약계층, 사각지대 노동자를 위해 책임을 다하는 질서를 만들어가기 위함이었다”며 “그러나 저희의 부족함으로 이런 호소는 받아들여지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그는 “투표를 통해 확인된 대의원들의 뜻을 어느 때보다 무겁게 받아들이고 겸허한 마음으로 수용하겠다”며 “임기를 마무리 짓지 못하고 사퇴하게 돼 죄송한 마음”이라고 밝혔다.

민주노총 집행부는 전날 온라인으로 임시 대의원대회를 열어 노사정 합의안 승인 안건을 상정했으나 반대표가 투표 인원의 절반을 넘어 부결됐다.
이번 노사정 합의는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때인 1998년 노사정위원회 합의 이후 22년 만에 민주노총을 포함한 노사정 6개 주체가 참여한 합의였다.
노사정 대표자회의가 40여일의 논의를 거쳐 고용 유지, 기업 살리기, 사회 안전망 확충 등을 위한 협력 방안이 담긴 노사정 합의안을 마련했지만, 김 위원장은 민주노총 중앙집행위원회에서 내부 반대에 막혀 추인을 얻지 못했다.
이에 김 위원장은 임시 대의원대회를 소집해 대의원들의 뜻을 묻기로 했다. 그는 대의원대회에서도 노사정 합의안 추인이 무산될 경우 사퇴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박상은 기자 pse0212@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