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육부가 2학기부터 10%대 수준인 실시간 쌍방향 원격 수업을 확대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학교 현장에서는 실시간 쌍방향, 과제제시형, 콘텐츠 활용형까지 세 종류의 원격 수업이 이뤄지고 있다. 세 가지를 혼합하는 형태도 나타나고 있다. 이 가운데 화상회의 시스템을 활용하는 실시간 쌍방향 수업을 늘리는 것이다.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15일 부산시교육청에서 열린 ‘시·도교육감 영남권 간담회’에서 교육 격차 해소 방안 가운데 하나로 실시간 쌍방향 수업 확대를 제시했다. 간담회에는 박종훈 경남교육감, 김석준 부산교육감, 강은희 대구교육감, 노옥희 울산교육감, 임종식 경북교육감이 참석했다.
유 부총리는 간담회 모두발언을 통해 “지난 1학기에 원격 수업과 등교 수업을 병행하면서 교육 격차가 커지고 있다는 우려가 많았다”라며 “저희(교육부)가 생각하는 격차 해소 방안은 교육 과정을 재구성한다든지 실시간 쌍방향 수업을 확대한다든지 그걸 위해 교원 원격 수업 역량을 강화 지원 대책을 세우고 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교육부 관계자는 “학생과 학부모들이 실시간 쌍방향 수업을 늘려 달라는 요구를 지속적으로 해왔다. 교육부는 현장의 의견을 받아 2학기에 실시간 쌍방향 수업을 지금보다 늘리는 방안을 교육청 및 교사 단체 등과 협의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교육부가 파악하고 있는 실시간 쌍방향 수업 비율은 12.9% 수준이다. 이 관계자는 “원격 수업 초반에 조사한 수치로 지금은 더 높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가 실시간 쌍방향 확대를 격차 해소 방안으로 검토하는 이유는 교실 수업과 가장 흡사한 형태이기 때문이다. 교사와 학생이 화상에서 대면해 수업하기 때문에 학생들이 방치될 염려가 적다. 다만 교육부는 실시간 쌍방향 수업 비율의 목표치는 밝히지 않았다. 학교와 교사의 준비 정도가 천차만별이어서 일률적으로 목표치를 제시했을 경우 학교 현장의 반발과 부작용이 예상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유 부총리는 간담회에 앞서 부산국제외고를 찾아 현장 의견을 청취했다. 이 학교는 지난해 특목고에서 일반고로 전환한 학교로 고교학점제 선도학교로 운영되고 있다. 기존 외고 교육과정의 장점을 살려 다양한 외국어 수업을 하면서도 과학, 예·체능 과목을 개설해 학생 선택권을 넓혔다.
유 부총리를 만난 학생들은 원격 수업 지원을 요구했다. 2학년 김도현 학생은 “원격 수업 장비를 활용해서 집과 학교뿐 아니라 교실과 교실을 연결해서 다양한 교과목 융합 수업이 가능하도록 해달라”고 말했다. 1학년 조이레 학생은 “원격 수업 때 어려웠던 점은 인터넷 조사 관련 과제를 할 때 필요한 정보를 즉각 찾지 못해 애 먹었다. 학생들이 인터넷에서 자신이 필요한 정보를 찾을 수 있는 실습 교육을 해준다면 원격 수업이 더 효과적이라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김이경 교장은 “다양한 수업을 시도하려면 기자재 등의 뒷받침이 중요하다”며 원격 수업 예산을 늘려달라고 요구했다. 교육부는 이날 영남권을 시작으로 호남권, 수도권, 충청권 등 총 4개 권역에서 간담회를 열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이후 교육 대전환을 위한 논의를 이어나갈 계획이다.
부산=이도경 기자 yido@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