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공항 7만6000명 규모의 노동자들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고용위기와 관련, 9월 실업대란을 막기위해 1만명 서명운동에 착수했다.
14일 노동계에 따르면 항공, 물류 노동자(공공운수노조)와 인천공항 면세점 노동자(백화점면세점판매서비스노조)가 처음으로 함께 고용안정을 위한 정부 정책을 촉구하는 등 노동자들의 위기의식이 커지고 있다.
이와 관련, 민주노총 전국공공운수노동조합은 재난 시기 약자의 희생이 아니라 모든 노동자가 함께 일자리와 권리를 지킬 수 있도록 조합원 뿐 아니라 7만6000명 인천공항 노동자들과 국민들을 대상으로 서명운동(https://url.kr/hGz6w2)을 진행해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들은 “오는 9월 정부 고용유지정책의 핵심인 ‘특별고용지원업종’이 만료되면 실업대란이 올 수 있다”며 “항공업, 관광업 등 주요 업종들에 대한 정부 지원이 사라지면 심각한 위기에 직면하게 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또 “코로나19로 맨 처음 타격을 입은 항공업, 관광업, 면세업 등은 정부가 전폭적으로 지원한다고 공식 발표하고 있는 상황에서도 47% 노동자들이 고용불안을 겪고 있는 심각한 상황”이라면서 “집계조차 되지 않는 다단계 인력파견 하청업체들을 감안하면 실질적인 고용불안 수치는 50%를 초과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노동계는 정부 차원에서 항공업, 관광업 등 기존 특별고용지원업종 지정을 연장 및 확대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노동계는 “정부가 9월 15일 만료되는 특별고용지원업종 지원을 연장해서 일자리를 계속 지켜야 한다”며 “재난시기 정부 지원 중단은 대한항공을 비롯한 공항⋅항공산업이 구조조정을 유예한 기업들이 고용유지와 구조조정 판단의 주요 요인일 수밖에 없다”고 진단했다.
정부의 지원이 끊기면 50%에 달하는 고용불안 수치는 60, 70%로 악화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어서 항공업계 1위 대한항공에서부터 9월 무급휴직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는 것이다.
원청의 무급휴직은 지상조업사, 인력파견업체 등 하청업체에게는 권고사직, 희망퇴직, 정리해고로 이어질 수밖에 없는 것도 노동자들을 불안하게 하고 있다.
노동계는 “정부가 나서서 코로나19 고용불안이 본격화되고 6개월 긴 사각지대에서 고통받아온 하청 노동자들이 고용유지 지원을 받도록 특별고용지원업종을 대폭 확대해야 한다”면서 “다단계 하청으로 구성된 인천공항 산업 중 정부의 특별고용지원업종 지원은 항공사와 일부 원청 대기업만 보호해왔다”고 질타했다.
이들은 “코로나19로 고용불안을 제일 먼저 경험한 면세점, 상업시설, 호텔 등의 하청업체 간접고용 비정규직 노동자들을 배제해왔다”며 “고용불안 걱정이 덜한 신라면세점 정규직은 지원하지만, 인력파견업체 소속 신라면세점 담배코너 파견 판매직은 지원이 되지 않는 역설적인 상황이 6개월 간 지속되고 있다”고 질타했다.
실제 고용불안을 겪고 있는 하청업체 노동자를 위해 특별고용지원업종을 대폭 확대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들은 “9월 15일, 특별고용지원업종 지원이 종료된다”며 “항공사, 조업사, 하청사 노동자 모두에게 위기가 닥칠 수 있다”고 호소했다.
한편 인천국제공항공사 자회사인 인천공항시설관리㈜ 소속 인천공항 공항소방대원 중 간부급 19명과 2017년 이후 입사자 수십명이 전부 전환채용되지 않고 공개 채용시험을 보게 되면서 노조에 가입되지 않은 간부급 소방대원 19명이 법원에 가처분신청을 내는 등 후유증을 앓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인천=정창교 기자 jcgyo@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