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 파주시에서 말라리아 원충 유전자를 지닌 모기가 발견됐다. 질병관리본부는 인근 거주자와 방문자 주의를 당부했다.
질병관리본부는 국내 말라리아 유행 예측을 위해 매개 모기의 밀도를 조사했다. 지난달 14∼20일 파주에서 얼룩 날개 모기류 5마리를 채집해 검사한 결과 말라리아 원충 유전자를 확인했다.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얼룩 날개 모기류는 말라리아 매개 모기 중 하나다. 날개에 흑색과 백색의 반점 무늬가 있는 게 특징이다. 유충은 논, 수로, 웅덩이 등에 서식하며 주로 야간에 흡혈활동을 한다.
말라리아는 보통 감염된 모기에 물려 걸린다. 오한, 고열, 발한 등이 순서대로 발생한다. 초기에는 권태감이나 발열 증상이 며칠 지속하다가 두통, 구토, 설사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인천이나 경기·강원 북부 등 말라리아가 발생했던 위험지역에서는 가급적 야간 활동을 자제하는 게 좋다. 부득이하게 나가야 할 때는 긴 소매 옷을 입거나 모기 기피제를 써야 한다. 잠잘 때 모기장을 사용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보건당국은 매년 4∼10월 매개 모기를 채집해 국내 말라리아 유행 시점을 예측하고 있다. 현재 인천, 경기, 강원 시·도 보건환경연구원, 군부대 등과 협조해 51곳에서 모기를 채집·조사한다.
정은경 질병관리본부장은 “휴전선 접경 지역 등 국내 말라리아 발생 지역에 거주하거나 방문한 뒤 의심 증상이 있으면 보건소나 의료기관을 방문해 신속하게 검사를 받아달라”고 당부했다.
김지은 인턴기자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