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상수도 대동맥 ICT로 잇는다… ‘그린 뉴딜’ 시동

Է:2020-06-22 16:12
ϱ
ũ
2014년부터 3년간 진행된 ‘파주 스마트 워터시티’ 사업에서는 단지 내 전광판을 통해 수돗물 수질 정보를 실시간 제공했다. 어린이들이 전광판 앞에서 수돗물 수질 정보를 확인하고 있다. 사진=수자원공사

정부가 약 1조6000억원 이상을 투입해 전국 상수도 관리체계를 고도화한다. 정보통신기술(ICT)·인공지능(AI)으로 전국에 퍼져 있는 상수도를 사실상 하나의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첫 시도다. ‘붉은 수돗물’ 사태 재발을 막고 깨끗한 수돗물을 공급하는 것이 궁극의 목표다. 이 과정에서 9만여명의 일자리와 4조원에 달하는 생산유발 효과를 끌어낸다는 복안이다. 환경 개선, 일자리 창출, 경기 부양을 동시에 꾀하는 한국판 ‘그린 뉴딜’ 정책의 첫 시동이다.

환경부와 한국수자원공사는 그린 뉴딜에 ‘스마트 상수도 관리체계 구축 사업’을 반영하고 2022~2023년에 걸쳐 차례로 목표를 달성하겠다고 22일 밝혔다.

지난달 문재인 대통령은 디지털 뉴딜과 그린 뉴딜을 양대 축으로 하는 ‘한국판 뉴딜’ 정책 추진을 공식화했다. 그린 뉴딜은 친환경 경제로 전환하면서 일자리 창출과 경기 부양을 동시에 달성하는 정책이다. 스마트 상수도 관리체계 구축은 그린 뉴딜 사업에 일찌감치 포진했다. 물 관리 정책 개선이 그만큼 시급하고 중요하다는 의미다.

수자원공사는 161개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수돗물 공급 과정에 ‘ICT 기반 실시간 감시·대응체계’를 구축한다. 여기에 약 1조4000억원을 투입한다. 올해 안에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이르면 연말부터 서울·부산 등 44개 지자체에서 부분 사업에 착수한다. 또 내년부터 2022년까지 117개 지자체를 대상으로 사업 영역을 확대할 예정이다.

이번 사업은 취수원부터 수도꼭지까지 수돗물 공급 전 과정을 ICT·AI 등 첨단 기술로 점검하고 각종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 핵심이다. 상수도관 내 쌓이는 이물질 등을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제거하는 역할이다. 지난해 인천에서 불거진 ‘붉은 수돗물’ 사태 재발을 뿌리부터 막겠다는 의지다. 지난 1월에는 사고 징후 감지·위기 발생 시 지휘소 역할을 하는 유역수도지원센터 구축도 완료했다.
2014년부터 3년간 진행된 ‘파주 스마트 워터시티’ 사업에서는 지역 대상 방문 수질검사(워터코디) 서비스가 제공됐다. 워터코디가 가정을 방문해 수돗물 수질 오염을 확인하고 있다. 사진=수자원공사

지방 상수도 스마트 관리체계 구축 사업은 광역 상수도 사업과 연계해 진행한다. 수자원공사는 48개 광역 상수도에 ICT·AI로 실시간 감시하는 관리체계를 구축키로 했다. 조류·유해 화학물질 유입 등 취수원 이상 수질을 실시간 원격으로 감시하는 시스템을 내년까지 도입한다. 정수처리공정 운영을 자동화하고 상수도관 망 운영 시스템을 고도화한다. 예산은 2356억원이 투입된다. 추가경정예산안에 이미 520억원이 증액 편성됐다.

‘파주 스마트 워터시티’ 모델이 이번 사업의 본보기다. 앞서 파주시와 수자원공사 등은 2014년부터 3년간 이 사업을 진행했다. 상수관 실시간 운영관리 시스템으로 관리·감독을 강화하고 단지 내 전광판과 홈페이지를 통해 수돗물 수질 정보를 실시간 제공하는 등 물 관리 패러다임 변화를 시도했다. 수돗물 음용으로 인한 피해 발생 시 최대 10억원을 보상하는 ‘수돗물 안심보험’도 처음 제시했다. 실제 사업이 끝난 후 수돗물을 믿고 마시는 지역 내 가정은 36배나 늘었다.

수자원공사 관계자는 “이번 사업은 스마트센서, 통신설비 등 물 관리 인프라 시스템 구축부터 유지관리까지 9만4000명의 일자리 창출이 예상된다”며 “수도 분야 기자재 판로 확대 등 3조6000억원 생산유발 효과로 물 산업 성장을 견인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세종=최재필 기자 jpchoi@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