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미향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페이스북을 통해 “2012년도의 ‘나비기금’ 계좌는 개인 명의로 개설됐지만 전적으로 나비기금 전용 목적으로 쓰였다”고 해명했다.
윤 의원은 1일 오후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개인 명의 계좌는 2012년이 최초가 맞지만, 이때 건은 전용 계좌라서 전혀 혼용되지 않은 것이다. 2014년부터의 모금 건이 혼용 계좌”라고 전했다.
개인계좌로 모금을 시작한 게 2014년부터라는 기자회견 발언과 달리 2012년에도 콩고 전시 성폭력 피해 여성 지원을 위한 기부금을 개인계좌로 받았다는 언론 보도에 대해 입장을 밝힌 것이다.
윤 의원은 “2012년 3월 8일 세계여성의 날을 맞이하면서 김복동·길원옥 할머니 두 분과 정대협(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의기억연대 전신)은 기자회견을 가졌다”며 “두 생존자는 일본 정부에 요구하는 것은 돈이 아니고 법적 배상이라고 하면서 일본 정부가 법적 배상을 하면 배상금 전액을 전시 성폭력 피해자들에게 후원할 것이라는 메시지를 선포하였다”고 했다.
이어 “그 뜻을 담아 정대협은 ‘나비기금’을 만들었다고 선언하고, 초기에는 임시로 윤미향(나비기금) 계좌를 만들어 모금을 진행했다”며 “개인 명의로 개설되긴 했지만 전적으로 나비기금 전용 목적으로 쓰인 계좌다. ‘혼용’ 계좌가 아니라는 뜻”이라고 강조했다.
또 “혼용 계좌가 되는 것은 2014년부터 시작된 여타의 다른 모금 건이므로 아파트 매입을 한 2012년과 시기적으로 전혀 다르다”고 덧붙였다.
앞서 윤 의원은 지난달 29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의기억연대 기부금 횡령 등 자신을 둘러싼 각종 의혹을 해명했다. 이후 지난달 30일부터 국회의원 임기가 시작되자 페이스북을 통해서도 적극 반박에 나서고 있다.
반면 국회 의원회관에서 마주한 취재진 앞에서는 말을 아꼈다. 이날 국회의원 신분으로 첫 출근한 그는 창문을 블라인드로 가린 채 9시간 동안 방문 밖으로 나오지 않고 업무를 봤다.
박상은 기자 pse0212@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