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초·중·고생 등을 위한 마스크 구입·제작이 무분별하게 이뤄져 성능평가 등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학생용 마스크에 인체에 치명적인 유해물질이 포함돼 건강을 오히려 해칠 수 있다는 것이다.
광주광역시의회 김나윤 의원(민주·북구6)은 31일 “시중에 유통되는 면마스크와 수제 마스크의 원자재 성분에 노닐페놀 등 유해물질이 포함될 수 있다”며 광주시교육청이 학생용 마스크 구입과 제작에 신중을 기울여야 한다고 지적했다.
광주시교육청은 금명간 3억5000만 원의 예비비를 추가 투입해 학생용 면마스크를 구입할 예정이다.
김의원은 “1인당 2매의 마스크 구입은 학생수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 물량도 문제지만 교육청 별도의 재질 성능평가기준이 없어 건강에 더 위협을 줄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는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라 면마스크 사용량이 늘고 지역 시민단체들이 손수 만들어 기부하는 사례도 많아졌다”며 “검증되지 않은 재료를 사용한 마스크로 직접 호흡기를 가리게 되면 오히려 건강에 악재가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코로나 사태의 기세가 꺾이지 않으면서 정부는 소위 ‘마스크 5부제’를 도입했지만 공급난은 해소되지 않고 있다. 마스크 5부제가 실효를 거두지 못하면서 대안으로 면마스크를 사용하는 사람이 늘어나고 자선단체, 유관기관 등에서 자체 제작해 마스크를 기부하는 사례도 늘고 있다. 문제는 면마스크도 엄격한 품질 기준이 있다는 사실이다.
국가기술표준원은 방한용 마스크(면마스크, 부직포마스크)를 제조·수입할 경우 유해물질 안전요건의 적합도를 원자재 포함 유해물질과 함께 표시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국가기술표준원은 국가산업표준 및 국제표준의 확보, 품질인증, 시험분석 평가 등의 사무를 관장하는 국가기관이다.
실제 국가기술표준원은 최근 유해물질이 안전 기준을 초과한 어린이용 면마스크 2개 모델에 리콜 명령을 내렸다. 리콜된 마스크들은 노닐페놀이 기준치를 초과한 제품이다. 노닐페놀은 호르몬 작용 방해, 성조숙증 등을 유발할 수 있는 유해물질로 민감한 호흡기를 가리는 마스크 원자재로 사용하면 안된다.
표준원은 또 유해물질 안전 기준은 벗어나지 않았지만 섬유 혼용률, 사용 연령 등 표시 의무를 위반한 29개 모델에도 개선 조치를 권고했다.
김나윤의원은 “면마스크는 성인용, 아동용, 유아용으로 엄격히 구분돼 안전기준이 정해져 있다”며 “교육청과 지자체 등에서 제작해 기부하는 마스크가 면역력이 약한 독거노인 등에게 주로 지급되는 만큼 안전에 만전을 기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호흡기가 약한 유아나 아동들도 자제 제작한 면마스크 착용에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며 “면마스크 기부가 예상치 못한 결과로 이어지지 않도록 사회구성원들이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덧붙였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