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8일(현지시간) 코로나19 발병 상황이 심각한 이탈리아 롬바르디아주 주도인 밀라노에 이날 1차로 중국 의료진 10여명이 항공편으로 도착했다고 보도했다. 나머지 인력에 대한 지원 시기는 아직 결정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현재 롬바르디아주는 중증 환자를 위한 추가 병상과 산소호흡기, 의료진 확보 등 가능한 한 모든 곳에 힘을 쏟고 있다. 경제·금융 중심지인 밀라노의 임시 병원 1개소에서 400개의 중증 환자용 병상을 운영하는데 필요한 인력은 의사 500명, 간호사 1400명에 이른다.
하지만 유럽연합(EU) 내에서는 도움이 요원한 상황이다. EU 집행위원회는 이탈리아에 대한 지원을 약속했지만 실제 지원은 이뤄지지 않고 있다. 코로나19가 펜데믹(세계적 대유행)으로 확대하면서 각 나라마다 의료장비와 인력이 부족해 다른 나라를 지원하기 어려운 상황이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에서 중국이 도움을 주겠다고 나서면서 코로나 19 발원지에서 ‘우호적인 지원자’로 이미지 쇄신에 나서고 있다고 WSJ은 분석했다. 지원 규모가 크지는 않지만, EU 국가끼리 도움을 주지 않는 상황에서 중국의 영향력이 확대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WSJ은 이달 초 EU 회원국 중 어느 국가도 이탈리아의 마스크 지원 요청에 화답하지 않았으며 독일 당국은 오히려 의료장비 전달을 지연시키기도 했다고 꼬집었다.
중국의 지원을 두고 유럽 내에서는 엇갈린 해석이 나온다.
독일 싱크탱크 ‘세계공공정책연구소’(GPPI)의 토르스텐 베너 소장은 “중국의 인도주의적 자세는 좋은 일이다”면서도 “바이러스의 진원지인 중국의 초기 대처와 이로 인해 전 세계로 퍼져나가도록 놔둔 역사를 고쳐 쓰도록 해선 안 된다”고 지적했다.
반면 세르비아 알렉산다르 부치치 대통령은 “우리를 도울 곳은 중국밖에 없다”며 “EU 연대는 어려운 상황에서 존재하지 않는다”고 중국을 추켜세웠다.
오스트리아의 정치 분석가 이반 크라스테프는 “유럽 민주주의 국가 구성원 일부에게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상황에서 중국의 뒤처리가 권위주의 체계를 매력적으로 보이게 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이탈리아는 현재 3만5713명의 확진자가 발생했으며 2978명의 사망자가 나왔다. 전날 대비 확진자는 4207명(13.35%)이 늘었고, 사망자는 475명(18.97%)이 증가했다.
한명오 인턴기자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