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때문에 집에 있게 되어 우울감이 생긴 것 같다”
“코로나19 때문에 좋아하는 학원도 못가고, 친구들도 못 만나고 집에만 있으니 힘들다”
코로나19로 인해 각급 학교의 개학이 연기되면서 이처럼 불안감과 답답함을 호소하는 청소년들이 늘어가고 있다.
심지어 하루에 수차례씩 전화를 해 답답하다고 하소연하는 청소년도 있다는 것이다.
코로나19로 인한 학부모들의 상황도 마찬가지로 상담전화도 이어지고 있다.
“(코로나19로)애들도 개학이 연기돼서 집에만 있으니 너무 답답해하는 것 같다” “아이가 코로나19 때문에 죽음과 관련된 이야기를 하거나 불안해하는데 어떻게 해줘야 할지 모르겠다”
“집에서 PC게임을 계속하고 있어 인터넷 사용 조절 문제로 골치가 아프다” 등 부모로서 겪는 곤란한 상황에 대한 고민이 주를 이루고 있다.
한 상담사는 “(코로나19로)개학이 23일로 연기되면서 수행평가와 시험 일정이 한꺼번에 몰려 제대로 준비할 수 있을까, 입시 준비에 차질이 생기지 않을까 하는 고민도 있다”고 전했다.
경기도는 ‘청소년전화 1388’에서는 이처럼 불안함과 답답함 뿐 아니라 일상적인 고민 상담부터, 가출, 학업중단, 인터넷 중독 등 위기에 이르기까지 365일 24시간 전문상담을 이용할 수 있다고 12일 밝혔다.
청소년전화 1388은 청소년상담사, 청소년지도사, 사회복지사 등 국가자격을 소지하거나 일정기간 청소년 상담복지 관련 실무경력을 갖춘 전문상담 선생님이 상담을 제공하는 서비스다.
교우관계·학업성적·진로 등 고민이 있을 때와 가정·학교 폭력, 성폭력·성매매 피해 등을 당했을 때, 가출해서 갈 곳이 없을 때, 청소년 자녀를 둔 학부모가 자녀와의 관계에서 고민이 있을 때, 청소년 구조 등 기타 도움이 필요할 때 등 상담 범위 폭이 넓다.
경기도는 다양한 청소년전화 1388 이용 방법도 알렸다.
일반전화는 1388(또는 110), 휴대전화는 031+1388 (또는 110)
온라인상담은 www.cyber1388.kr, 1388 문자상담은 문자보내기에서 수신자번호에 #1388쓰고 고민을 털어놓으면 된다.
1388 카카오톡상담도 있어 카카오톡 플러스친구에서 #1388과 친구맺기 후 이야기 하면 된다.
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