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원도내에서 4·15 총선을 앞두고 국회의원선거구획정위원회가 내놓은 선거구 획정안에 대한 반발이 거세다. 단순히 인구를 기준으로 선거구를 획정하면서 생활권과 문화, 지역 정서 등을 고려하지 않고 영서·영동 6개 시·군을 초대형 선거구로 묶는 일이 벌어졌기 때문이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산하 선거구획정위원회는 3일 강원도 현행 8석을 유지한 상태에서 인구 상한선을 초과한 춘천을 분구하는 내용이 담긴 ‘제21대 총선 선거구 획정안’을 국회에 제출했다. 상·하한선은 13만6565~27만3129명으로 정했다.
이에 따라 인구 28만574명인 춘천은 갑·을로 분구됐다. 인구 하한선을 넘긴 속초·고성·양양(13만6942명)은 양양을 떼어내 강릉·양양으로 묶고, 영동권인 속초·고성은 영서권인 철원·화천·양구·인제와 한 선거구가 됐다. 이들 6개 시·군의 면적은 약 4922㎢로, 서울 면적(605㎢)의 8배가 넘는다.
나머지는 동해·태백·삼척, 홍천·횡성·영월·평창·정선 등으로 묶였다. 의석을 늘리지 않고 현행 8석을 유지하는 전제로 춘천 분구를 추진해 생긴 결과다.
도내에서는 이번 선거구 획정에 대한 우려가 쏟아져 왔다. 강원도의회는 4일 성명을 내고 “지역 대표성이 심각하게 훼손됨은 물론 문화와 정서, 생활권을 무시한 것으로 그 고통은 고스란히 강원도민이 떠안게 될 것”이라며 “선거구 재획정이 관철되지 않으면 4‧15 총선을 보이콧 함은 물론 대정부 투쟁을 위한 총궐기도 불사하겠다”고 했다.
더불어민주당 강원도당 제21대 국회의원선거 예비후보자들은 이날 오전 기자회견을 열고 “지역의 특성이 전혀 고려되지 않고 오직 인구수만으로 선거구가 획정된다면 지역의 균형은 무너지고 발전은 물거품이 될 게 자명하다”며 “강원도민을 무시하고 우롱한 최악의 선거구 획정에 대해 깊은 유감을 표하고 합리적인 판단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미래통합당 강원도당은 “선거구 획정은 인구뿐만 아니라 행정구역, 지리적 여건, 교통, 생활문화권 등을 고려하여 획정토록 선거법에서 규정하고 있다”며 “하지만 이번 선거구 획정은 넓고, 생활문화권이 다른 지역 현실을 무시한 것으로 도민들은 이를 절대 수용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강원경제인연합회도 성명을 내고 “백두대간을 사이로 기후, 사회, 문화, 경제가 다른 정서를 지닌 영서·영동 6개 시군을 합하는 우주선거구가 만들어지게 됐다”며 “이번 선거구 획정은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으며 도민의 힘을 모아 강력한 저항을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춘천=서승진 기자 sjseo@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