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에 대한 불안감이 일상생활에 큰 변화를 몰고 온 가운데 광주지역 시내버스와 지하철 등 대중교통 이용자가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광주시와 광주도시철도공사에 따르면 광주에서 첫 확진환자가 발생한 지난 4일을 기준으로 전후 5일간 시내버스 이용객 수를 비교한 결과 발생 후 승객이 21.4% 줄었다.
버스 운행정보 시스템으로 집계한 발생 전 5일간(1월 30일∼2월 3일) 이용객은 179만7986명이었다. 하지만 발생 후(2월 5∼9일)에는 141만2783명으로 38만5203명 감소했다.
확진 판정일 전과 이튿날만 따지면 3일에는 26만921명이던 이용객이 4일 19만918명, 5일 15만5116명으로 눈에 띄게 줄었다.
지하철 이용객도 마찬가지다. 발생 전 5일간 23만4365명에서 발생 후 같은기간 17만6486명으로 5만7천879명 24.7% 줄었다. 3일 수송 인원은 5만2344명이었지만 첫 환자 발생일인 4일에는 4만9095명, 5일은 4만2533명으로 급감했다.
신종 코로나 감염을 걱정한 시민들이 외출을 자제한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된다. 설령 외출을 하더라도 대중교통보다는 승용차 이용을 선호한 영향도 더해진 것으로 보인다.
광주시는 택시운송사업조합과 10여개 시내버스 업체 등에 택시 차고지, 시내버스 기·종점 등 부대시설을 하루에 한 차례 이상 소독하고 물청소를 하도록 권고했다. 시내버스 택시 승객들의 손이 많이 닿는 차량 기둥, 의자 손잡이, 등받이, 요금함 등을 중심으로 소독하고 종사자에게는 반드시 마스크를 착용토록 했다.
광주 도시철도공사도 월 1회이던 전동차 소독을 2회로 늘리고 손잡이 등을 중심으로 분무 소독을 실시하도록 했다. 지하철 역사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 엘리베이터 버튼, 일회용 승차권도 수시 소독대상이다.
한편 광주지역 신종 코로나는 6일 이후 4일 연속 추가 감염자가 나오지 않았다. 시는 하지만 광주‘일가족 감염’이 발생한 21세기병원과 광주소방학교 등에 격리된 접촉자 잠복기를 감안해 오는 19일 자정을 해제시기로 판단하고 확산을 막기 위한 긴장의 끈을 놓지 않고 있다.
현재 A씨 모녀의 접촉자 446명 중 435명이 격리 조치됐다가 이중 잠복기가 지난 11명은 격리를 해제했다. A씨 오빠 B씨의 접촉자 9명은 자가 격리와 능동감시를 병행하고 있다.
시는 확진환자 접촉자 175명을 대상으로 검사한 결과 그동안 A씨의 가족 2명을 제외한 173명이 음성 판정을 받았다고 밝혔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