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능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중앙사고수습본부장(보건복지부 장관)은 9일 “이달 말까지 현재의 3배 수준, 즉 하루 1만건의 진단검사가 가능하도록 검사물량을 확보할 것”이라고 밝혔다.
박 본부장은 이날 오후 5시30분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브리핑을 통해 “현재는 하루 3000명 정도의 검사를 시행할 수 있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이어 “모든 방안을 동원해 진단검사의 물량을 대폭 늘려나가겠다”고 덧붙였다.
박 본부장에 따르면 현재 물량으로는 중국 방문력이 있는 유증상자 정도까지는 신종 코로나 검사가 가능하다. 그러나 다른 위험 국가를 방문한 유증상자 모두가 검사를 받기에는 부족한 규모다. 박 본부장은 “어려운 검체 채취 방법, 유전자 증폭장비와 숙련된 검사인력 부족 등 진단검사 물량을 쉽게 증가시키지 못하는 제약 요건이 많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생산업체, 민간검사기관, 연구소, 병원 등 모든 자원을 동원할 것”이라며 이달 말까지 하루 1만건의 진단검사가 가능하도록 검사물량을 확대하겠다고 약속했다.
또 “중국 여행력이 없다고 하더라도 호흡기 증상이 있는 경우 의사의 판단에 따라 진단검사를 실시하게 할 것”이라며 “감염환자를 조기에 찾아내고 지역전파를 막겠다”고 말했다.
아울러 “중국 등 여행력이 있으면서 원인불명의 폐렴을 앓고 있는 입원환자 전원에 대해서는 진단검사를 실시, 만에 하나 방역망에서 놓친 감염환자가 있다면 끝까지 찾아내는 폐렴 감시체계를 갖출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 본부장은 또 “오늘 확대중수본회의 결과 중국 내 확진자 증가, 동남아 국가로 확산 경향 등 외부의 위험요인이 커지면서 지역사회 확산 위험도 높아지고 있다고 판단했다”면서 “신종 코로나의 국내 유입을 더 강력하게 차단하겠다”고 했다.
그는 “입국자 사후 관리를 위해 내외국인 입국자의 건강상태 모니터링을 위한 자가진단 앱을 개발·보급할 것”이라며 “중국 입국자에 대해서는 매일 자가진단 결과 보고를 확보하는 등 실질적인 모니터링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 이외 지역에서 유입되는 환자가 발생할 가능성에 대해서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 지역사회 감염이 발생한 국가나 지역에 대한 감염병 정보를 제공하고 단순 관광 목적의 여행을 최소화하도록 권고하겠다”고 했다.
또 “의료기관과 약국에서 진료 전에 해외 지역사회 감염 국가 및 지역의 여행 이력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며 “의료진이 보다 쉽게 진단하게 돕겠다”고 말했다.
격리·검사 체계 강화를 위해서도 “격리자 관리는 이제 질병관리본부가 아니라 행정안전부가 전담한다”면서 “각 지자체, 경찰 등과 함께 협조 체계를 구축하고 자가격리가 철저히 유지되도록 관리하겠다”고 했다.
박 본부장은 “지자체는 시도지사를 본부장으로 지역재난안전대책본부를 가동해 보건소뿐만 아니라 행정인력, 물적자원을 모두 동원하는 총력 태세를 갖출 것”이라며 “이러한 역할조정을 통해 질병관리본부와 보건소는 방역활동에 더 집중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박은주 기자 wn1247@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