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29일 중국 후베이성 우한시에서 귀국하는 교민들의 격리 수용 장소로 충북 진천 혁신도시 내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과 충남 아산의 경찰인재개발원을 지목했다. 진천과 아산의 주민들은 이날 정부 공식 발표 전부터 각종 농기계를 동원해 도로를 가로막으며 항의했다.
이날 아침부터 아산과 진천이 격리시설 후보지로 부상하고 있다는 보도가 이어지자 아산에서는 이를 반대하는 주민들이 시위에 돌입했다.
충남 아산 경찰인재개발원 정문 앞에서는 주민들이 농기계로 경찰인재개발원 주변 도로를 막아 경찰과 대치하는 상황이 벌어졌다. 경찰인재개발원 인근 초사 2통에는 지난해 말 기준 196가구 456명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다.
초사 2통이 속한 온양5동의 김재호(63) 통장은 “지자체나 주민들 의견수렴도 없이 중앙정부가 경솔하게 일방적으로 결정한 것으로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다”며 “천안주민들이 반대한다고 아산으로 옮긴 것은 지역 간 싸움만 붙이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한 주민은 “경찰인재개발원은 초사동 마을 한가운데 있고 주민들 대다수가 75세 이상 어르신들로 확산 시 줄초상이 날 수도 있다”고 분개했다.
경찰공무원 및 경찰간부후보생에 대한 교육훈련을 관장하는 경찰인재개발원은 2인 1실의 638실, 1276명 수용 가능한 생활관과 후생관, 식당 등을 보유하고 있으며 2009년 11월 25일 현재 부지에 경찰교육원으로 개원했다.


충남 진천에서는 이날 200여명의 주민들이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 정문 앞을 트렉터로 봉쇄하고 우한 교민 격리 수용 반대 시위를 벌였다.
진천군은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이 우한 교민을 격리 수용하기에 부적절한 입지라고 이날 공식 입장을 밝혔다. 송기섭 진천군수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국가 대승적 차원에서 보면 어느 곳에서든 우한 교민을 수용해야 하는 게 맞는다”면서도 “(충남)천안에서 반발하니까 진천으로 변경하면 주민들이 선뜻 수용할 수 있겠느냐”고 반문했다.
송 군수는 “전염병 확산과 관련한 국가 격리수용 시설의 결정은 인구밀도, 격리의 용이성, 의료기관 연계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며 “하지만 이번 결정은 이런 원칙이 결여된 불합리한 의사결정”이라고 강조했다.
진천군 덕산읍과 음성군 맹동면 일대 689만㎡에 조성된 충북 혁신도시는 11개 공공기관뿐 아니라 아파트가 밀집돼 있으며 2만6000여명이 거주하고 있다는 게 진천군의 설명이다. 특히 인재개발원 반경 1㎞ 이내에는 6285가구 1만7237명이 거주하고 있다.
어린이집 4곳, 유치원 2곳, 초등학교 2곳, 중학교와 고등학교 각각 1곳씩 모두 10개 교육 시설도 있으며 수용 원아와 학생 수는 3521명이나 된다.

박세원 기자 one@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