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3년 동안 세종문화회관의 티켓을 1번 이상 구매한 고객의 10명 중 7명이 여성인 것으로 집계됐다.
서울디지털재단은 ‘세종문화회관 매표데이터를 이용한 이용객 특성 분석 연구’ 주요 내용을 31일 발표했다. 시민수요에 맞는 공연을 기획하기 위한 이용자 특성을 빅데이터로 분석했다.
세종문화회관에서 티켓을 1회 이상 구매한 전체 이용객의 성별 비중을 분석한 결과, 이용객 71.4%가 여성이었다. 연령대까지 고려하면 40대 여성이 전체 티켓 구매 이용객의 29.4%를 차지해 가장 비중이 컸다.
전체 이용객의 1.7%에 해당하는 우수고객 집단의 수익성은 일반 고객의 약 4배에 이르렀다. 전체 매출액에서는 6.7%를 차지했다.
우수고객은 40대 비중(26.5%)이 가장 컸다. 회당평균 구매금액은 약 5만원으로 비교적 적지만 구매빈도가 21.2회로 타 그룹(2.5회~9.5회)대비 높았다. 소비 장르는 전체 10개 장르 중 4.6개(재구매 고객 평균 1.9개)로, 클래식을 포함해 비교적 다양한 장르를 즐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에도 유료회원 가입률, 강좌 수강률, 패키지 구매율, 이벤트 경험률 등 부대 활동이 타 그룹대비 가장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매출은 일부 재구매 고객들이 견인했다. 특히 뮤지컬을 선호하고 재구매 고객의 19.1%에 해당하는 ‘일반고객A 그룹’이 전체 매출의 32.7%를 차지했다. 해당 그룹은 20대의 비중(30.3%)이 높고, 회당평균 구매금액이 약 15만원으로 높다는 특징이 있다.
이번 분석자료는 세종문화회관에서 자체 운영 중인 티켓 판매시스템에 저장된 최근 3년(2017.1.1.~2019.11.15.)간 거래데이터를 활용했다.
오주환 기자 johnny@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