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주 황룡강 장록습지가 도심 속 ‘국내 1호’ 국가습지로 거듭날 수 있게 됐다. 시민 여론조사 결과 압도적 찬성으로 보존 후 국가습지 지정 추진을 결정했다.
광주시는 “보존과 개발 여부를 두고 1년 넘게 의견이 대립해온 선운지구 황룡강 장록습지 국가보호지역 지정에 대한 시민합의를 이끌어냈다”고 24일 밝혔다. 시와 환경부가 광주시민 1000명을 대상으로 지난달 28일부터 국가습지보호구역 지정 찬반에 대한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찬성 85.8% 반대 14.2%로 집계됐다. 습지를 보존해 후손들에게 물려주자는 시민합의가 이뤄진 것이다. 시와 환경부는 장록습지 인근 주민 500명, 광산구 주민 200명, 광산구 외 주민 300명 등을 선정해 정보제공형 대면조사 방식의 여론조사를 했다.
도심을 관통하는 황룡강 줄기를 따라 만들어진 장록습지는 광산구 장록동과 서봉동 선암동에 걸친 3.06㎢ 면적의 하천습지다. 호남대 정문부터 영산강 합류부까지 8㎞ 구간이다. 지난해 3월부터 10개월간 국립습지센터가 정밀조사를 통해 도심 습지로는 드물게 멸종위기종 1급인 수달과 2급인 삵, 새호리기, 흰목물떼새 등 820여종이 서식해 생물 다양성이 매우 풍부하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하지만 지역사회에서는 ‘자연보호’이냐 ‘지역개발’이냐를 둘러싸고 장기간에 걸쳐 장록습지에 관한 논란이 이어졌다. 오랜 기간 자연지형을 유지한 장록습지는 도심 열섬현상을 막고 미관에 도움을 주는 만큼 국가보호습지로 지정·보호해야한다는 여론과 체육시설·주차장 등으로 개발해 시민복지에 적극 활용해야한다는 의견이 첨예하게 맞서왔다. 이에 따라 시와 환경부는 지난 1월부터 지역주민 토론회와 간담회 등을 통해 장록습지의 보존·개발 여부를 공론화했다.
또 지난 5월에는 환경부 갈등조정팀이 추천한 전문가, 지역주민과 시민사회단체 대표, 지방의원 등 16명으로 실무위원회를 꾸려 각계의 의견을 수렴해왔다. 김해 화포천 등 선행 우수사례 견학을 다녀오기도 했다.
시는 여론조사로 시민합의가 이뤄진 만큼 향후 광산구가 국가습지보호구역 지정을 건의하면 환경부에 관련서류를 제출해 지정절차를 서둘러 진행하기로 했다. 장록습지가 국가습지보호구역으로 지정될 경우 국내 첫 번째 도심 국가습지가 된다.
시는 국가습지 승격이 되면 환경부 지원을 받아 체계적 관리와 함께 훼손지역의 복원작업을 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도시환경 문제를 제어하고 물 순환 기능을 개선하는 등 생물과 인간이 공존하는 건전한 생태공간이자 국내 유일의 도심 속 국가습지로 자리매김한다는 것이다. 시는 내년 상반기 국가습지 지정이 이뤄질 것으로 낙관하고 있다.
이용섭 광주시장은 “경치가 빼어난 장록습지를 무등산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에 버금가는 생태 관광자원으로 육성해 광주의 색다른 나들이 명소가 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