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북지역을 중심으로 지자체들이 일제강점기때 반민족 친일(親日)을 한 수장들의 행적 밝히기에 적극 나서고 있다. ‘역사 바로 세우기’ 차원에서 친일 인사의 단순 사진 없애기를 넘어 기록에 친일 상황을 명시하고 있어 전국으로 확산될지 주목된다.
전북 전주시는 청사내에 내걸었던 역대 시장의 사진 액자 가운데 친일 행적이 뚜렷한 2명의 사진을 떼어냈다고 17일 밝혔다.
전주시는 민족문제연구소 전북지부의 의견을 수용해 초대 시장 임병억(1945∼1948년)씨와 3대 시장 임춘성(1950년 5∼11월)씨의 액자를 철거했다. 대신 이름과 재임 기간은 남기고 사진 자리엔 ‘친일반민족행위자(친일인명사전등재)’라는 문구를 적어 넣었다. 전주시는 시청 홈페이지도 이같이 교체키로 했다.
시 관계자는 “많이 늦은 감은 있지만 친일청산 작업과 역사의식 바로 세우기에 동참하기 위해 친일인명사전에 오른 역대 시장들의 흔적을 지웠다”고 말했다.
전북도도 최근 친일 행적이 확인된 제11대 임춘성(1960년 6∼10월), 제12대 이용택(1960년 10∼12월) 도지사의 사진을 청사에서 철거했다. 도는 홈페이지의 사진과 프로필도 삭제했다고 덧붙였다.
경남지역에서는 민족문제연구소 진주지회가 경남도지사와 진양군수 가운데 친일 행위자의 홍보를 중단하고 행적을 밝히라고 촉구했다. 진주지회는 최근 공문을 보내 “경남도지사‧진양군수 중 친일행위를 한 김병규와 황운성의 사진 철거(삭제)와 친일행위 게재”를 요청했다.
경남지방경찰청은 최근 친일 청산과 탈권위를 위해 역대 경찰국장·청장의 사진을 홍보관에서 철거했다. 경찰은 먼저 노기주(2대)·이익흥(5대)·김종원(13대)·이정용(24대)씨 등 친일 인사인 4명의 사진만 종이로 가렸다가 나중에 역대 국장·청장 사진을 모두 철거했다.
반면 전북경찰청은 지난 4일 친일잔재 청산 취지에 공감한다며 역대 경찰국장의 사진을 모두 내렸다가 하룻만에 친일 행적이 뚜렷한 8명의 사진까지 홈페이지에 다시 내걸어 논란이 일고 있다. 전북경찰은 다음 날 ‘친일잔재 청산’이 아니라 조직의 ‘권위주의 해소’ 차원이었다고 설명해 비난을 사고 있다.
김재호 민족문제연구소 전북지부장은 “전북경찰이 하루 만에 ‘역사적 사실’ 운운하며 다시 사진을 내건 것에 대해 황당하고 화가 난다”고 분개하고 “친일 행적자의 사진만 없애는 것을 원하지 않고 친일행위를 그대로 적시해 후대에 교훈으로 남겨야 한다. 이같은 움직임이 전국으로 확산되는 나비효과를 가져왔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전주=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