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른바 ‘백원우 별동대’의 존재를 야당 인사에게 증언한 청와대 특별감찰반원들이 최근 종적을 감췄다.
김도읍 자유한국당 의원과 면담을 하거나 전화 통화를 했던 이들은 최근 A수사관이 숨진 뒤 일절 연락을 끊은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가 “별동대는 없었다”며 선을 긋고 있는 상황에서 더 이상 이를 언급하는 것에 대해 부담을 느낀 것으로 보인다.
김 의원 측은 4일 “면담을 진행했던 특감반원들과 이달 들어 모두 연락이 닿지 않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별동대를 둘러싼 각종 의혹의 진위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접촉을 시도하고 있지만 오늘도 전화를 받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김 의원은 지난달 26~30일 청와대 반부패비서관실 소속 특감반원들을 상대로 유선 및 대면으로 면담을 진행했다. 이들은 “‘민정 특감반’이라 하는 아주 문제 있는 조직이 있었다” “정확히 어떤 일을 하는지 알 수 없는 비밀에 부쳐진 조직이었다” 등 실제 별동대가 존재했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고래고기 사건’을 두고 불거진 검찰과 경찰의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특감반원들이 울산에 내려갔다는 노영민 대통령 비서실장의 해명에 대해서도 “명백한 거짓말”이라며 강하게 반박하기도 했다. 또 “별동대의 구체적인 업무 내용은 모르지만 A수사관으로부터 ‘우리가 하는 일이 굉장히 어렵고, 힘들고 중요한 일’이라는 뉘앙스의 말을 들었다”는 취지의 발언도 면담 과정에서 나온 것으로 전해졌다.
‘친문게이트 진상조사 태스크포스(TF)’ 위원장을 맡은 곽상도 한국당 의원 측도 비슷한 시기 반부패비서관실 B행정관과 연락이 끊겼다고 한다. 곽 의원 측은 “B행정관과 지속적으로 연락을 해왔으나 지난주부터 B행정관 쪽에서 연락을 끊었다”고 말했다.
강경한 청와대 입장에 특감반원들도 압박감을 느낀 것으로 보인다. B행정관을 포함해 면담에 응한 특감반원 대다수는 현재 청와대 소속이다. 이들은 앞서 김 의원 측과 면담에 응하면서도 신변이 드러나지 않도록 의원실에 거듭 요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김 의원 측은 “절대로 신변이 드러나지 않게 해달라는 강력한 요구가 있었다. 면담 내용이 공개된 뒤 움츠러든 것 같다”고 말했다.
청와대는 지난 2일 특감반원들의 증언 내용이 공개된 이후 즉각 브리핑을 열고 별동대 의혹을 전면 부인했었다. 청와대 하명수사 의혹이 제기된 이후 구체적 언급을 삼가던 청와대가 처음으로 적극 대응에 나선 것이다. 고민정 대변인은 당시 “별동대라든지 하는 등의 억측 보도는 전혀 사실이 아니다”고 말했다.
이가현 김용현 기자 hyun@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