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시 비중을 높이면 읍면 지역과 저소득층 학생들이 서울 주요 대학에 진입하는 통로가 좁아질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정부 조사에서 드러났다. 이는 문재인 대통령 주문으로 추진 중인 ‘정시비중 확대’를 반대하는 진보성향 교육계의 주요 논거로 활용될 전망이다.
교육부가 5일 발표한 13개 대학 학생부종합전형(학종)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서울 지역 고교에 다니는 학생은 학종보다는 수능, 읍이나 면에 사는 수험생은 수능보다는 학종으로 서울 주요 대학에 입학하는 비율이 높았다.
교육부가 학종 실태조사를 벌인 서울대 고려대 연세대 포항공대 등 13개 대학 합격자의 고교 소재지별 현황을 보면 뚜렷하게 드러난다.
서울 지역 고교 학생들은 2016~2019년 4개년 평균 27.4%가 학종을 통해 합격했다. 학종으로 100명을 뽑았는데 27명 정도가 서울 학생이란 얘기다. 읍·면 학생은 15%였다.
수능 점수로 뽑는 정시에서는 서울 학생이 37.8% 합격했고 읍·면에서는 8.6% 합격했다. 어떤 전형이든 서울 학생들이 경쟁력이 높았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읍·면 지역 학생이 학종을 활용해 대학에 가는 비율이 높았다.
소득 상위계층일수록 수능이 유리하다는 결과도 나왔다. 국가장학금 수혜 대상이 될 수 없는 상위 20% 이상(국가장학금 미수혜자) 현황을 보면 학종이 64.9%, 수능이 75.0%였다. 수능으로 이들 13개 대학에 합격한 인원 가운데 4분의 3이 상위 20% 이상 계층이란 얘기다.
기초생활수급자~3구간에 해당하는 소득 하위층은 학종 16.2%, 수능 10.7%로 나타났다. 수능 비중이 높아질수록 저소득층 자녀의 합격률이 낮아질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 교육부 분석에 따르면 저소득층 대상 기회균형전형을 제외하더라도 저소득층에는 수능보다 학종이 유리했다.
박백범 교육부 차관은 정시 확대가 오히려 기회균등이란 가치에 역행한다는 지적에 대해 “읍·면 지역에 민사고 용인외고 거창고 등이 들어 있다는 점도 감안해야 한다. 이들 13개 대학만 놓고 특정 계층에 수능이 유리하다 학종이 유리하다고 단정하긴 어렵다”고 주장했다.
이도경 기자 yido@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