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형 일자리’ 후속 엔진 장착 … ‘전기차 중심지’ 건설 본격

Է:2019-10-29 15:51
ϱ
ũ
지난 24일 전북 군산에서 열린 ‘전북 군산 상생형 일자리 협약식’에서 문재인 대통령(앞줄 왼쪽에서 여섯 번째)과 송하진 지사(일곱번째)가 협약 기업 대표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전북도 제공.

문재인 대통령이 참석한 ‘전북 군산 상생형 일자리 협약식’이 지난 24일 성공적으로 이뤄진 가운데, 전북도가 후속조치에 본격 돌입했다. 송하진 지사는 이번 협약식의 효력이 내년 5∼6월부터 발효할 것으로 전망하고 “군산을 전기차산업의 세계적인 중심지로 만들어나가겠다”고 다짐했다.

전북도는 상생형 일자리가 성공적으로 안착할 수 있도록 제도적 기반 마련부터 R&D 지원, 전기차 전문인력 양성 등 후속사업을 추진한다고 29일 밝혔다.

전북도는 먼저 핵심기구인 상생협의회를 운영해 세부적인 시스템 구축을 마련한다. 아울러 실무추진단과 노‧사간 갈등 예방을 위한 중재 특별위원회에 대한 운영 지침을 구체화할 계획이다.

또 업종별 적정 임금 체계에 대한 컨설팅과 함께 협약기업들의 수평적 계열화를 유도하기 위한 작업도 추진한다.

더불어 중소 부품기업들의 기술자립화를 위해서 전기·자율차산업 육성사업, 전기동력자동차 전기·전장 산업생태계 구축사업, 전장부품기업 현안해결 리빙랩 R&D 지원사업 등에도 집중키로 했다.

이밖에 기업 협업체계 구축을 위해 전기차 관련 기업, 배터리 업계, 전력회사, 연구원과 관계부처가 공동 참여하는 ‘전북 전기자동차 얼라이언스’도 구성 운영할 예정이다.

군산대와 협력해 전기자동차 인력 양성에 나서는 한편 전문학사와 전문 R&D 인력양성 과정개발, 현장 실습 지원 등을 추진키로 했다.

전북도는 이번 상생 협력안의 효력이 내년 5~6월쯤부터 본격 발효될 것으로 보고 있다. 새만금 컨소시엄에 포함된 에디슨 모터스, 대창모터스, MPS 코리아 등이 올 연말쯤 착공식을 갖기 때문이다.

옛 한국지엠 군산공장에 터를 잡은 봑명신은 지난 협약식에서 6000억원을 투자하고 1800여명을 고용하겠다고 밝혔다.

지역에서는 이번 상생형 일자리가 한국지엠 군산공장 폐쇄와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가동 중단으로 침체된 지역 경제 상황에 숨통이 터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앞서 문재인 대통령은 24일 협약식 전 환담 자리에서 “그동안 군산이 가장 아픈 손가락이었다. 이번 군산형 일자리는 지역 상생형 일자리의 6번째로서, 특히 양대 노총이 함께 참여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군산시민들에게 적지 않은 희망을 주리라 믿는다”고 말했다.

송하진 지사는 “전국에서는 처음으로 지역공동교섭 등 선진 노사관계 시스템을 도입하는 ‘전북 군산형 일자리’가 조기에 안착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전주=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