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철도와 수도권 전철·지하철이 11일부터 나란히 파업과 준법투쟁에 들어가 시민들이 큰 불편을 겪을 전망이다.
철도노조는 11일 오전 9시부터 14일 오전 9시까지 3일간 파업에 돌입한다고 10일 밝혔다. 철도노조는 KTX·SRT 고속철도뿐 아니라 새마을호·무궁화호 등 일반열차, 화물열차, 수도권 전철 등을 맡고 있다.
이에 따라 열차 감축 운행이 불가피해졌다. 국토교통부는 파업 기간 열차 종류별 예상 운행률이 광역전철의 경우 88.1%, 고속열차는 81.1%(KTX 72.4%·SRT 정상 운행) 수준으로 보고 있다. 새마을·무궁화호 등 일반열차는 60%, 화물열차는 36.8% 수준에서 운행될 전망이다.
이에 국토부는 “철도공사가 운행 중지 열차 정보 등을 홈페이지와 모바일 앱을 통해 공지하고 있다”며 “개별 안내 문자와 광역전철 전광판 등에서도 홍보 중이니 확인 후 예매 취소를 서둘러 달라”고 밝혔다. 국토부는 끝까지 예약이 취소되지 않은 상태에서 운행 중지로 이용하지 못한 승차권이라도 1년 이내 위약금 없이 요즘 전액을 돌려받을 수 있도록 했다.
또 고속버스·시외버스 등 대체 교통수단을 최대한 활용하고, 화물열차는 수출입 물품, 산업 필수품 등 긴급 화물 위주로 수송할 계획이다. 김경욱 국토부 제2차관은 이날 주재한 철도노조 파업대비 비상수송 대책 회의에서 “지방자치단체와 관련 기관이 적극적으로 협력해 파업에 따른 불편을 최소화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서울지하철 1~8호선을 맡고 있는 서울교통공사 노조도 11일부터 15일까지 닷새간 안전운행 확보 투쟁(준법 투쟁)에 돌입한다. 준법 투쟁은 열차가 출고될 때 정비 등 필요 작업 시간을 정확히 지키는 방법으로 열차 출발을 늦추는 것이다. 따라서 교통공사 노조가 준법 투쟁을 시작할 경우 열차 출발이 지연돼 이를 이용하는 시민들이 큰 불편을 겪을 가능성이 높다. 실제 지난 7일 철도노조 준법 투쟁으로 서울역과 용산역에서 출발하는 열차들은 최대 90분가량 지연됐다. 교통공사 노조는 이어 16~18일까지 1차 총파업에 돌입하고, 그래도 협상이 불발되면 11월 중순에 전면 총파업을 감행할 계획이다.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들도 이날 서울시교육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교육 당국이 우리의 요구를 외면한다면 지난 총파업 때보다 더 많은 노동자가 17일 2차 총파업에 돌입할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7월 사흘간 진행된 1차 총파업 때는 약 2만2000여명이 동참해 2800여개교에서 급식이 중단됐다.
모규엽 기자 hirte@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