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에 있어 경기 북부지역 의심 신고 신속 확인 가능
농식품부는 “경북 김천 농림축산검역본부서만 확인 가능하다”
부처 간 협업하지 않아 방역 허점 키운다 지적

방역 당국이 아프리카돼지열병(ASF) 감염 여부를 정밀 검사할 수 있는 공공기관을 인천시에 두고도 활용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그동안 농림축산식품부는 경북 김천시에 있는 농림축산검역본부에서만 아프리카돼지열병 검사가 가능하다고 말해왔다. 이동거리를 줄여 검사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데도 외면한 셈이다. 인천시에 있는 공공기관은 환경부 산하 국립환경과학원이다. 재난 수준으로 아프리카돼지열병이 커지고 있는데도 ‘부처 칸막이’를 허물지 못한다는 지적을 피할 수 없다.
환경부 관계자는 “국립환경과학원에도 아프리카돼지열병 양성 여부를 파악할 수 있는 장비가 갖춰져 있다”고 26일 밝혔다. 이 관게자는 “폐사한 야생 멧돼지 등의 검사를 국립환경과학원에서 수행했다”고 덧붙였다. 이는 기존에 농식품부가 밝혀왔던 입장과 상반된다. 농식품부는 국내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을 정밀 검사할 수 있는 곳은 농림축산검역본부가 유일하다고 강조해왔다.

지난 17일 경기도 파주시에서 처음으로 아프리카돼지열병이 발생한 뒤 여러 의심 신고 농장을 정밀 검사할 때 국립환경과학원 장비를 활용한 적은 없다. 이 시설은 인천시 서구에 있다. 현재까지 확진 사례나 의심 사례가 경기 북부 지역과 강화군에 집중되는 점을 감안하면 감염 여부를 가장 빠르게 확인할 수 있는 위치다. 농림축산검역본부가 멀리 있다 보니 의심 신고 접수부터 정밀 검사, 확진 판정까지 평균 10시간 이상 걸리는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것이다.
국립환경과학원은 농식품부가 지정한 ‘중점관리지역’ 안에 있다는 장점도 있다. 채취한 시료를 아직 아프리카돼지열병 바이러스가 전파되지 않은 다른 지역으로 반출하는 위험을 감수할 필요가 없다.
그런데도 활용하지 못하는 이면에는 부처 간 칸막이가 자리 잡고 있다. 국립환경과학원이 환경부 소속이다 보니 방역당국에서 정밀 검사에 투입하지 못하는 것이다. 신속한 확진과 몇 시간이라도 빠른 살처분 등의 초동 대응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주요 매개체 중 하나로 지목되는 야생 멧돼지에 대응하는 문제도 비슷하다. 농림축산검역본부가 김현권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를 보면 최근 5년간 야생 멧돼지 폐사체를 검사한 결과는 확인된 바 없다. 하지만 환경부는 올해 들어 34건의 폐사체를 확인해 검사했다고 설명한다. 이 가운데 21건은 경기 북부지역에서 발견됐다. 이에 대해 농식품부 관계자는 “부처 간 협력이 잘 되고 있다”고 반박했다.
세종=신준섭 기자 sman321@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