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도, 일본 수출규제 맞서 소재부품산업 육성 방안 마련

Է:2019-08-21 17:22
ϱ
ũ
전남도는 전남테크노파크와 협업해 ‘전남 소재·부품산업 육성 계획’을 오는 10월 말까지 세워 추진할 계획이라고 21일 밝혔다. 일본의 핵심 소재·부품 수출규제로 인해 관련 분야의 국산화가 시급해졌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금속·화학·세라믹·레이저 등 4개 핵심소재는 TF팀에서 과제를 발굴하고 중장기 발전대책 TF팀에서 과제를 수정·보완해 총괄위원회에서 최종 계획을 승인하게 된다.

TF팀에는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KEIT), 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 재료연구소 등 정부 출연 연구기관이 함께 참여한다.

소재·부품 산업 육성 계획의 방향을 설정하기 위해 이날 산·학·연 전문가 21명으로 구성된 총괄위원회가 열렸다.

이 자리에서는 대일 무역적자가 심한 80대 품목과 정부의 예비타당성 조사 면제 135개 과제 가운데 전남도가 참여 가능하거나, 선점할 수 있는 분야를 중심으로 R&D와 기반 구축 과제를 집중 발굴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전남도는 그동안 일본 수출규제 피해 최소화 대책 마련을 위해 기업인, 국제통상 전문가 등 30여명이 참여하는 ‘일본 수출규제 대응 민관협의회’를 운영해왔다. 또 여수·순천·광양 등 화학·철강 기업인 23명과 간담회를 김영록 도지사 주재로 개최하면서 현장의 목소리를 들었다.

이와 함께 ‘수출규제 피해 접수처’(061-287-9898)를 설치하고 전담직원을 배치해 운영하고 있다. 아직까지 피해 접수는 없는 상태다.

전남도는 오는 28일 한국이 백색국가에서 제외되면 미-중 무역분쟁 지속 등 주변 통상 환경과 맞물려 당장은 피해가 없을지라도 장기화되면 수출입 기업의 피해가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안상현 전남도 경제에너지국장은 “그동안 중소기업은 자체 개발한 기술과 제품에 대해 수요처와 품질 확보 및 시장 개척 등을 위한 협업이 부족했고, 기존 경쟁사가 전략적으로 가격을 낮춰 진입을 막는 바람에 양산까지 못한 경우도 있었다”며 “이번 일본의 경제침략을 계기로 국산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기회가 생긴 만큼 차분하게 대처하면 수 년 안에 원천기술을 확보하고, 국제 경쟁력을 갖춘 제품을 생산하는 성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무안=김영균 기자 ykk222@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