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1년 개통될 서울 한강대교 공중보행길 ‘백년다리’는 조선 정조 시대 ‘배다리’ 모형을 본뜬다.
서울시는 노량진과 노들섬을 잇는 한강대교 남단에 지을 보행자 전용 공중다리의 밑그림을 30일 공개했다. 조선 시대 정조가 작은 배들을 활용해 만든 한강 최초의 인도교 ‘배다리’를 재해석한 공중다리가 쌍둥이 아치교인 한강대교 가운데 놓인다. 배다리는 정조가 수원 행차 때 한강을 건너기 위해 배들을 모아 만든 임시 다리다.
‘백년다리’의 바닥은 물결처럼 오르내린다. 부유하는 배를 형상화한 완만한 언덕 모양의 8개 구조물을 이어 붙여 만들었다. 걷는 사람에게 물 위에 뜬 배를 걷는 듯한 느낌을 준다는 취지다. 서울시는 바닥의 곡선 디자인은 아치교인 기존 한강대교와 조화를 이룰 것으로 기대했다. 아울러 보행길을 따라 걸으면 변화하는 높이에 따라 한강의 풍경과 도시의 경관, 아름다운 석양을 다양한 방식으로 조망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앞서 서울시는 뉴욕의 ‘브루클린브릿지’같은 관광명소를 만들겠다며 ‘백년다리’ 설립 계획을 발표했다. 기존 한강대교 차도 끝에 붙어있던 좁은 보행로를 한강대교 가운데로 옮겨 문화공간으로 만들겠다는 내용이었다. 서울시는 백년다리 곳곳에 다양한 벤치와 전망대, 야외 공연‧전시장, 선베드 같은 편의시설을 설치할 계획이다. 백년다리의 길이는 500m, 폭은 10m다.
아울러 서울시는 백년다리를 도심 속 녹색 숲이면서 한강 위 하늘정원으로 꾸민다. 소음과 바람, 폭염과 미세먼지를 막아주는 꽃과 나무를 보행로 주변에 심는다. 도심에서 마치 시골의 오솔길을 걷는 듯한 기분을 연출한다. 한강대교 차로 부분과 보행교 사이에는 미세먼지 흡착과 열섬화 예방 효과가 있는 수직정원을 설치하고 보스턴고사리, 아이비같은 공기정화 기능이 있는 식물, 로즈마리같이 향기가 있는 식물, 구절초같이 관리가 쉬운 식물들을 심는다.
백년다리는 1917년 한강 첫 근대 인도교로 구축된 ‘한강 인도교’의 명맥을 잇는다는 의미도 있다. 한강대교는 애초 1917년 애초 한강 인도교라는 이름으로 처음 개통됐다. 이름 그대로 한강을 걸어서 건널 수 있는 다리였다. 하지만 1950년 한국전쟁 발발 사흘 만에 폭파됐다가 1981년 현재 쌍둥이 아치교 한강대교로 복원됐다. 다만 이전 한강 인도교와 달리 차량 중심 다리로 바뀌었다.
서울시는 내년 초 백년다리 공사에 들어가 2021년 6월까지 완성할 계획이다.

오주환 기자 johnny@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