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특허청과 한국무역협회가 11일 인터콘티넨탈호텔에서 ‘제1회 지식재산(IP) 통상포럼’을 개최했다.
이날 발표된 ‘해외 지식재산 확산·보호 로드맵’에 따라 특허청은 2030년까지 국내 해외출원을 기존 7만여건의 3배 수준인 20만건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또 중소·중견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을 현재의 2배 수준인 30%로 확대하는 ‘해외특허 2030 프로젝트’도 추진한다.
이를 위해 글로벌 IP스타기업, 특허바우처, 글로벌 K-특허 확대 등을 통해 비용지원을 확대한다. 특허공제 등을 통한 간접지원도 늘려나가기로 했다.
해외에서 우리 기업의 지식재산 보호도 강화된다.
현재 15개소인 해외지식재산센터(IP-DESK)를 2023년까지 23개소로 개편확대해 현지지원도 확대한다. 우리 기업의 지재권 침해품의 주요 생산·유통국과의 지재권 보호협력체계도 확대한다.
이밖에 이날 포럼에서는 해외 지식재산 확산보호의 중요성, 남북 지식재산권 교류협력을 주제로 발표도 이어졌다.
박원주 특허청장은 “우리 기업이 해외에서 지식재산 시장을 선점해, 지식재산 기반 글로벌 강소기업으로 성장해 나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특허청과 한국무역협회는 포럼에 앞서 ‘수출기업의 지식재산보호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도 체결했다. 양 기관은 수출기업의 해외 특허확보를 통한 경쟁력 강화를 위해 6개 분야에서 협력하기로 했다.
6대 협력분야는 수출기업의 지식재산기반 성장지원, 해외진출·예정기업의 지식재산 보호·경쟁력 강화, ‘K-브랜드 침해신고센터’ 등을 통한 정보제공, 무역협회에 지식재산 전문인력 파견 및 상담·자문 지원, 수출기업의 지식재산 인식제고를 위한 교육·간담회 추진, 수출기업의 특허공제 가입을 위한 협력 등이 선정됐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