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스텍 연구팀이 일산화질소를 잡아먹는 새로운 개념의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제를 개발했다.
포스텍은 화학과 김원종(사진) 교수 연구팀이 일산화질소에 감응하는 가교제를 이용해 몸속 일산화질소를 포집하는 나노 크기의 하이드로젤을 개발, 동물실험에서 기존 치료제보다 우수한 효과를 확인했다고 4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나노과학 분야 국제학술지인 나노레터스(Nano Letters) 온라인판을 통해 발표됐다.
류마티스관절염은 일산화질소가 몸속에서 과도하게 생성돼 유발되는 대표적인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김 교수팀은 2017년 일산화질소에 감응하는 매크로 하이드로젤을 개발한 데 이어 이번 연구에서 일산화질소를 직접 포집해 소모하는 나노크기의 하이드로 젤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이 젤은 유전자나 효소와 상호작용하도록 하는 기존 억제제와 달리 직접 일산화질소를 포집하는 형태로 부작용을 최소화했다.
생쥐를 이용한 동물실험에서도 류마티스 관절염 발병을 더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김원종 교수는 “이 나노젤은 일산화질소를 직접 포집한다는 새로운 전략으로, 효과적으로 류마티스 관절염을 치료했을 뿐 아니라 기존 약제의 부작용을 줄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밝혔다.
포항=안창한 기자 changhan@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