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특허청이 인공지능(AI)을 적용한 차세대 특허넷을 개발해 특허행정 혁신에 나선다.
특허청은 23일 오전 10시 정부대전청사에서 차세대 특허넷 개발사업 착수보고회를 개최했다.
특허넷은 특허와 실용신안, 상표, 디자인에 대한 출원·심사·등록·심판 등의 특허행정 업무 전반을 처리하는 정보시스템이다.
1999년 1세대 특허넷을 개통하며 세계 최초로 인터넷 전자출원 시대를 연 특허청은 2005년에는 유비쿼터스 기반의 2세대 특허넷, 2012년에는 클라우드 기반의 3세대 특허넷을 개발했다.
4세대 특허넷은 AI와 같은 지능정보기술을 특허행정에 적용, 업무 효율성과 대민서비스 편의성을 혁신적으로 높여 스마트 특허행정을 구현하는 것이 목표다.
차세대 특허넷을 바탕으로 스마트 특허행정이 구현될 경우 앞으로 민원인들이 특허고객 상담센터의 업무시간이 끝난 뒤에도 언제 어디서나 ‘AI 특허챗봇’에 접속해 특허 출원이나 심사·등록 등을 상담 받을 수 있게 될 전망이다.
출원인을 위한 편의도 크게 향상된다. 900여종에 달하는 서식을 PC에 설치해야 하는 등 다소 어렵고 불편했던 기존의 전자출원서비스(특허로)를 사용자 친화형 시스템으로 재구축해 초보자도 쉽고 편리하게 출원이 가능한 덕분이다.
또 출원인이 제출해야 하는 각종 서식의 기재 내용에 오류나 흠결이 있는 지, 앞서 출원된 특허·상표 등이 있는 지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 등으로 심사진행 경과를 조회해 수수료도 바로 납부할 수 있다.
심사관들의 경우 특허 출원된 기술내용을 이해하고 유사한 선행기술 문헌을 자동으로 찾아주는 ‘AI 심사도우미’를 활용할 수 있어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심사할 수 있게 된다.
특히 AI 기반 기계번역시스템을 활용해 외국어 부담 없이 전 세계의 선행기술 문헌을 검색할 수 있으며, 특허정보 서비스기업들은 특허청이 보급하는 특허도면부호·기계번역 학습데이터·합금성분비 및 화학식 등 다양한 특허정보DB를 활용할 수 있다.
특허청은 오는 2023년까지 단계적으로 차세대 특허넷을 개발할 예정이다. 올해는 총 98억원을 투입해 AI 기계번역시스템과 AI 상표이미지 검색 시범시스템을 개발하고 모바일 상표 전자출원서비스 및 고속 컴퓨팅 환경 등을 구축할 계획이다.
천세창 특허청 차장은 “출원인·심사관이 봐야할 전 세계 특허문헌이 7년 만에 2배로 증가해 지금은 4억건 이상”이라며 “AI 기반 특허넷을 통해 특허행정을 혁신할 수 있길 바란다”고 말했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