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해5도 어민들이 확장된 어장이 너무 멀리 떨어져 있어 도움이 안되는 상황에서 단속은 강화돼 피해를 보고 있다며 어선 70여척을 동원해 해상 시위를 벌였다.
10일 서해5도어업인연합회, 백령도선주협회, 대청도선주협회 및 인천해양경찰서 등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30분쯤 서해5도 중 연평도를 제외한 백령·대청·소청도 어민 130여명이 백령도 용기포 신항 인근에서 궐기대회를 열었다.
어민들은 “최근 정부가 남북 긴장 완화를 반영한 평화수역 1호 조치로 서해5도 어장확장을 발표했으나 민주적 절차 없이 서해5도 민관협의체를 무시한채 일방적인 발표를 했다”며 격앙된 반응을 보였다.
이달부터 백령·대청·소청도 남쪽에 새로 생긴 D어장(154.6㎢)의 조업이 허용됐으나 어선으로 왕복 5∼6시간이나 걸려 기름값이 더들어가 사실상 조업을 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어민들은 오전 11시40분부터 오후 4시까지 한반도기를 매달고 백령도와 대청도 해역에서 ‘국방부와 해수부는 어민의견 무시한 어장확장 재조정하라’ 등의 구호가 담긴 플래카드를 내건채 해상시위를 벌였다.
어민들은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어장 면적 확장과 야간 조업 보장을 해야한다”며 “불법 중국어선 범칙금을 어민에게 환원하고, 조업자유 및 평화배당 를 실시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특히 남북대화 1주년을 앞두고 어민들은 “남북해상적대행위 중단 합의대로 실효적 어장확대를 촉구한다”, “서해평화수역 조성을 위한 남북군사공동위원회 대화 시작하라”, “가두리 양식장처럼 협소한 주변어장에 서해5도 어민들을 가두려는 해군은 각성하고 조업구역 확장하라”고 촉구했다.
어민들은 결의문을 통해 “4.27 판문점 선언은 그동안 안보를 이유로 자유로운 어로 활동을 보장받지 못했던 서해5도 어민들의 한을 풀 수 있는 한 가닥 희망을 안겨 주었다”며 “지난 힘든 나날을 견딜 수 있었던 건, 언젠가는 남북관계가 좋아져 NLL 어장에서도 안전하게 어로 활동을 할 수 있을 거란 희망을 끈을 놓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어민들은 같은 결의문에서 “38선으로 그어진 분단 74년, 한국전쟁 후 정전협정으로 휴전선이 형성된 지 66년, 서해5도에 야간항행 금지로 야간조업이 금지된 지가 46년”이라고 전제, “긴 세월 동안 서해5도 어민들의 하루는 24시간이 아닌 12시간이었다”고 질타했다.
어민들은 “최근 정부는 남북의 긴장 완화를 반영한 평화수역 1호 조치로 서해5도 어장 확장을 발표했으나 지난해 5개 부처 장관 방문 이후, 우리의 요구로 서해5도 민관협의체를 운영하고 있었는데도 이를 무시해 강력한 유감을 표명한다”고 언급했다.
이들은 마지막으로 “정부는 평화가 경제인 것을 체감할 수 있도록 정책을 펼쳐야 한다”며 “합리적 사유로 이를 수용하지 않을 시 집단행동에 돌입하겠다”고 정부를 압박했다.
인천=정창교 기자 jcgyo@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