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남도가 2040년까지 국내 수소 공급 30%를 점유하는 것을 골자로 한 ‘충남형 수소경제 비전’을 선포했다. 충남이 수도권·중부권 전체에 수소를 공급하는 생산 거점 역할을 맡아 수소 산업을 선도한다는 것이다.
충남도는 26일 충남도서관에서 ‘충남형 수소경제 비전 발표 및 업무 협약식’을 개최했다.
양승조 충남도지사와 논산시, IBK기업은행·현대자동차·논산계룡축협·에이치앤파워㈜ 등 기업 관계자 100여명이 참석한 이날 비전선포식은 수소경제 로드맵 발표, 업무협약 체결 등의 순서로 진행됐다.
구본풍 도 미래산업국장은 ‘충남 수소산업 육성 특화전략’을 주제로 5대 전략 과제와 18개 추진과제를 발표했다.
주요 내용은 수소산업 기반 확충 및 수소 집적단지 조성·수소기술 상용화 추진 등으로, 도는 2040년까지 수소차 49만6000대를 보급하고 부생수소·추출수소 생산기지를 조성하기로 했다.
특히 생산기지는 향후 국내 수소공급량 30%를 점유해 수도권과 중부권 수소 공급의 거점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함께 2021년까지 708억원을 투입, 수소연료전기차 부품시험평가센터를 조성·지원하고, 충남 국가혁신클러스터지구에 수소 전기트럭부품 기술개발 및 기업 지원으로 320억원을 추가 투입할 예정이다.
올해는 수소전기차 350대와 수소버스 9대, 충전소 1곳 보급·구축 등에 총 128억원을 지원한다.
양 지사는 “수소경제는 에너지 패러다임 전환과 에너지 안보문제, 미래 친환경산업 육성을 위한 핵심 플랫폼”이라며 “수소에너지가 단순히 에너지 문제를 넘어 기후변화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근본적인 방안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도는 비전선포식과 함께 수소 산업으로 특화된 충남의 ‘국가혁신클러스터 육성사업’의 실현을 위해 IBK기업은행·현대자동차와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에 따라 현대차는 앞으로 대형수소화물차 부품개발을 위한 수요기업 참여를, 기업은행은 클러스터 입주기업 대상 특별 금융상품을 출시한다.
도는 또 축산분뇨에서 발생하는 ‘바이오가스 이용 수소융복합충전소 기술개발 및 실증사업’ 국가공모과제 유치를 위해 논산시·논산계룡축협·에이치앤파워 등과도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홍성=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