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허석 전남 순천시장은 18일 순천만국가정원에서 포스코의 스카이큐브(PRT) 일방적 협약 해지와 순천시민을 상대로 1367억원의 보상 청구에 대한 긴급 기자회견을 가졌다.
허석 전남 순천시장은 18일 “거대기업 포스코의 갑질 횡포에 적극 맞서겠다”고 말했다.
허 시장은 이날 오전 순천만국가정원에서 포스코가 순천만정원~순천만습지센터 간을 운영 중인 스카이큐브(PRT)의 일방적 협약 해지와 순천시민을 상대로 1367억원의 보상을 청구한데 대해 이같이 밝혔다.
허 시장은 “스카이큐브는 당초 2013년 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에 맞춰 운행하기로 했는데 2014년 4월에야 실제 운행을 하는 등 첫 시작부터 신뢰를 잃었었다”면서 “당시 포스코 자료에 의하면 스카이큐브는 신성장 산업으로 다른 지역으로, 해외로 판매하기 위해 영국의 벡터스라는 회사를 인수하면서 의욕적으로 추진한 것으로 나와 있다”고 설명했다.
허 시장은 이어 “하지만 포스코가 국내외 스카이큐브를 판매하려던 계획은 큰 반향을 불러일으키지 못하면서 포스코의 기대는 물거품이 되고 벡터스는 매각돼 적자를 볼 수밖에 없는 상황에 이르렀다”고 부연했다.
허 시장은 “이러한 상황에서 사업 실패의 책임을, 기업의 손해를, 미래의 이익에 대한 책임을 고스란히 순천시에 떠넘기고, 순천시민 한 가구당 130만원의 부담이 되는 1367억원을 보상하라고 하는 것은 순천시민을 우롱하는 처사다”며 “이는 거대 기업의 갑질과 횡포로 밖에 규정할 수 없기 때문에 28만 시민들과 함께 맞서 싸우겠다”고 의지를 드러냈다.
그는 특히 “스카이큐브의 일방적 운영 중지와 이로 인한 도시 이미지의 추락, 28만 순천시민의 자존심 추락 등 순천시가 오히려 피해와 손해를 받았으며, 이에 대한 전적인 책임은 포스코에 있다”고 주장했다.
허 시장은 “포스코의 횡포에 국정감사 요구, 세무감사 요구 등 모든 역량을 총동원해 나가겠다”면서 “서명운동, 촛불집회, 규탄대회 등 모든 시민적 저항운동으로 시민의 힘을 보여주자”며 시민들의 적극적 대응의 동참을 호소했다.
한편 스카이큐브는 2011년 포스코의 자회사인 에코트랜스가 총 사업비 610억원을 들여 4.62km 구간의 궤도 설비와 탑승장 2곳을 설치해 스카이큐브 차량 40대를 운영해왔다.
당시 순천시와 포스코는 스카이큐브를 30년간 운행한 뒤 기부채납키로 협약을 맺었다.
하지만 스카이큐브는 연평균 30여만명이 이용하면서 손익분기점인 80만명에 미치지 못해 적자가 반복돼왔다.
운영사인 포스코 에코트랜스 측은 “적자 누적으로 운영에 어려움이 있는데 따라 순천시에 무상으로 기부채납할 의사를 밝히기도 했다”고 말했다.
순천=김영균 기자 ykk222@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