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8 평창 동계올림픽 주요 시설이 국가문헌보존관과 동계훈련센터로 탈바꿈한다.
강원도와 문화체육관광부 국립중앙도서관, 대한체육회, 2018 평창 동계올림픽대회 및 동계패럴림픽대회 조직위원회는 4일 오후 강원도청에서 ‘2018 평창 동계올림픽 유산창출 및 사후활용을 위한 업무협약’을 가졌다.
이번 협약에 따라 국제방송센터(IBC)와 동계 조직위 주사무소가 각각 국가문헌보존관과 동계훈련센터로 활용된다. 국립중앙도서관과 대한체육회는 시설 리모델링 등 건립을 추진하고 강원도는 강원도개발공사와 협의를 통한 부지 제공, 조직위는 건물 제공의 역할을 맡는다. 당초 철거 예정이던 국제방송센터와 조직위 주사무소가 사후 활용됨에 따라 1063억의 직접적인 경제적 효과와 함께 인구 유입, 고용 창출 등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국가문헌보존관 내 설치되는 문화·체육 시설과 동계훈련센터 시설이 일반에 개방됨에 따라 상대적으로 문화·체육시설이 부족한 평창 지역 주민들의 삶의 질 개선에도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최문순 강원도지사는 “동계올림픽을 성공적으로 치러낸 평창군이 국가문헌보존관과 동계훈련센터 건립을 통해 올림픽 유산 창출과 사후활용에도 세계적인 모범 사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국제방송센터는 세계 각국 방송사들의 올림픽 중계를 지원하기 위해 평창군 대관령면에 5만1024㎡ 규모로 지어진 건물이다. 2m 이상의 적설량을 견딜 수 있으며, 공조시스템과 난방 설비 등이 이미 설치돼 국가문헌보존관으로 활용하기 적합한 환경을 갖추고 있다. 2023년 완공 예정인 국가문헌보존관은 2240만권의 장서를 수장하는 규모로 지어지며 문화·체육시설 등을 설치해 평창지역에 복합문화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평창군 대관령면에 위치한 평창동계올림픽 조직위 주사무소는 동계훈련센터로 활용된다. 대한체육회, 강원도, 조직위는 동계스포츠 발전을 위해 조직위 주사무소를 동계훈련센터로 고쳐 동계 종목 선수 훈련센터 및 하계 종목 전지 훈련장 등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일반 실업팀, 학교 운동부를 비롯한 일반 시민 모두가 이용할 수 있는 체육시설로 개방할 예정이다.
김기홍 조직위 사무처장은 “올림픽 시설을 활용한 동계훈련센터 건립은 대한민국 동계스포츠의 저변을 확대하는 중요한 이정표로 2018동계올림픽의 핵심적인 유산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춘천=서승진 기자 sjseo@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