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학교 갈등’ 한발 물러선 교육청…일반고 개교 1년 후 재논의

Է:2018-12-15 07:00
ϱ
ũ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이 6.13 지방선거를 앞둔 지난 4월 서울형혁신학교 평가토론회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는 모습. 뉴시스

이른바 교육감 ‘등짝 스매싱’(등을 세게 치는 행위)을 부른 혁신학교 논란에서 서울시교육청이 한 발 물러섰다. 서울 송파구 내 대규모 아파트(헬리오시티) 단지 인근에 개교를 앞둔 학교를 혁신학교로 지정하는 방안에 예비학부모, 주민들이 거세게 반발하자 1년의 유예를 두기로 한 것이다.

시교육청은 내년 3월 개교 예정인 해누리초중이음학교와 재개교를 앞둔 가락초등학교의 혁신학교 지정과 관련해 14일 “개교 후 학교 구성원들의 동의 절차를 거쳐 혁신학교 지정 여부를 결정하게 해달라는 요청을 수용키로 했다”며 “내년 1년간 ‘예비혁신학교’로 운영하겠다”고 밝혔다.

예비혁신학교는 학부모, 학생, 교사가 연수나 토론, 학습을 통해 혁신학교에 대해 알아갈 수 있는 시간을 주는 형태다. 수업혁신에 필요하다고 판단하면 1000만원 한도의 예산이나 수업 컨설팅 등 지원도 받을 수 있다.

2011년부터 2017년까지 전국 128개교가 예비혁신학교로 지정·운영됐고, 이 중 60%가량이 혁신학교로 전환했다. 만약 1년 후 학부모, 학생들이 혁신학교 전환에 반대하면 일반학교로 남을 수 있다.

그러나 예비혁신학교 지정이 갈등을 잠재울 수 있을지 우려는 여전하다. “결국 혁신학교로 지정하기 위한 시간벌기가 아니냐”는 불만도 나온다. 그동안 예비학부모들은 혁신학교가 학업성취도가 떨어뜨릴 수 있다며 반발했다. 교육청은 “혁신학교는 본래 경쟁 중심의 교육을 탈피하고 학생의 개성을 살린다는 취지”라며 설득했으나 실패했다.

특히 중·고교를 합친 해누리초중은 학생이 너무 많아 맞춤형 교육이 불가능할 것이란 지적이 쏟아졌다. 헬리오시티 입주예정자 중 일부는 “혁신학교는 학력이 떨어져 집값 하락으로 이어진다”며 반대했다. 급기야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이 지난 12일 해누리초중 혁신학교 지정문제를 논의하는 주민간담회에 참석했다가 분노한 주민에게 등을 맞았다.

최예슬 기자 smarty@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