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금은 손실을 입고 외자유치는 물거품 되려 하고...
민선 7기 광주시가 투자사업과 외자유치의 내우외환으로 이중고를 겪고 있다. 혈세로 만든 투자조합은 문을 닫고 외자를 끌어들여 세우려던 자동차 공장은 수년째 제자리걸음이다.
광주시는 “정보문화산업진흥원을 통해 35억원을 투자한 아시아문화산업투자조합 1호(이하 투자조합)가 운용사 등록취소와 적자누적으로 청산절차를 밟게 됐다”고 9일 밝혔다.
광주권 문화관광산업 육성을 위해 2012년 9월 출범한 투자조합은 그동안 영화제작과 광주지역 문화기업 등에 잇따라 자금을 투자했다. 하지만 상당수 기업과 영화사 등이 실적부진으로 파산하는 바람에 자금회수가 불투명하다.
당초 광주시 35억원, 문화체육관광부 38억4000만원, 민자 117억원 등 190억4000만원 규모로 결성된 투자조합은 5년간 민간기업 등에 투자를 실행한 뒤 이후 2년간 투자금과 수익금을 회수․배당 받기로 했다.
하지만 투자결과는 참혹해 그동안 30개사에 투입한 140억원 중 회수액은 현재 20억원에 불과하다.
더구나 운용사인 우리인베스트먼트가 투자조합 주식 26만주를 제3자에게 헐값에 팔았다가 지난 5월 등록취소 처분을 받았다.
소송 끝에 법원 판결로 지위를 회복했지만 시는 중소기업벤처부 권고에 따라 9월말까지 투자조합 청산을 매듭짓기로 결정해 향후 책임소재를 둘러싼 법적 공방이 예상된다.
반면 광주시와 전기자동차 공장을 건립하기로 협약한 중국 ‘조이롱’ 자동차는 2년이 넘도록 투자를 구체화하지 않아 외자유치가 물 건너갔다는 여론이 비등하다.
조이롱(Joylong․九龍)은 2016년 3월 광주시와 투자협약을 맺고 2020년까지 2500억원을 투자해 연간 10만대 생산규모의 완성차 공장을 설립하기로 했다.
그러나 조이롱 측은 중국에서 제작한 반제품 자동차를 국내로 들여와 광주공장에서 조립한 뒤 대량 판매한다는 전략을 세우고 있다. 이를 위해 서울, 인천, 경기 등 다른 광역단체와 올 들어 보조금 지원협상만 서둘러 광주 투자의 진정성을 의심받고 있다.
지원금은 지자체별로 최대한 받아내고 공장설립보다는 자동차 판매를 우선하겠다는 것이다.
조이롱의 광주투자에 적시호가 켜진 셈이다. 이에 따라 광주시는 오는 17일 감사위원회 주관으로 개최하려던 조이롱코리아 전기차 보조금 심의위원회를 무기한 연기했다고 밝혔다.
시는 감사위에서 지난 5월 조이롱 측이 광주에 전기차 판매 조건부로 요구한 미니 전기버스(E6) 대당 3000만원의 시비 보조금 지원여부를 심사할 예정이었다.
시는 조이롱 측에 서비스센터 3곳 설립, 대당 1억5000만원으로 책정된 차량가격 변동 폭 5% 내외 제한, 충분한 충전기 인프라 구축 등을 보조금 지원 선행조건으로 제시한 바 있다.
이에 비해 조이롱 측은 일단 국내 판매를 시작해보고 소비자 반응과 시장성에 따라 공장설립을 추진한다는 상반된 입장으로 약속한 투자를 미루고 있다.
시 관계자는 “투자조합은 청산하지만 그동안 문화기업 7곳이 광주로 이전하고 6곳이 창업하는 등 성과도 만만치 않다”며 “투자조합 자금회수와 조이롱 투자일정을 문서화하고 법적으로 공증하는 등 특단의 대책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투자금은 떼이고 외자유치는 물거품 위기…광주시 투자사업 내우외환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