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폭염이 계속되는 가운데 전력 수요량이 연일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다. 서울 일부 지역에서는 정전 사태가 나면서 대규모 블랙아웃(정전)이 발생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30도를 넘나드는 열대야가 이어진 24일, 서울 곳곳에서 정전 사태가 발생해 주민들이 몇 시간 동안 냉방시설 없이 더위에 노출돼야 했다. 정전이 발생한 지역은 서울 노원구·중구·송파구 등지로 한국전력 측은 대부분 정전의 원인을 최근 전력 사용량 급증으로 인한 변압기 및 변압기에 연결된 전선의 과부하로 분석했다. 앞선 22일과 23일에도 인천 작전동을 비롯한 일부 지역에 정전 사태가 발생한 바 있다.
전력 수요량은 연일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다. 지난 19일 8763만kW였던 최대 전력 수요는 지난 23일 오후 9069만kW, 24일은 9247만kW까지 급증했다. 이에 따라 전력 운영 예비율은 7%대(700만kW 이하)까지 하락했다. 운영 예비 전력이 500만kW 이하로 내려가면 대규모 정전 위험성이 있는데 이 경우 정부는 전력수급 위기경보를 발령하고 가정과 기업에 절전 참여를 호소한다.
전력거래소는 25일 “금일 최대 부하 발생 시간은 오후 4시에서 5시, 최대 부하는 9300만kW로 예상된다”며 “이 시간대의 공급 예비력은 630만kW, 예비율은 6.8%로 정상 상태”라고 밝혔다.
정부에서 예측한 최대 수요량보다 실제 최대 수요량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나면서 ‘탈원전’ 정책에 힘을 싣기 위해 전력 수요 예측을 지나치게 보수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냐는 비판이 이어지고 있다. 앞서 정부는 지난해 12월 ‘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 올여름 최대 전력수요를 8750만kW로 예측했지만 빗나갔다. 이에 정부는 지난 5일 최대 전력수요 예측을 8830만kW로 수정했다. 산업부는 지난 20일에도 전력수요가 하계 전력수급대책 발표 때 예측했던 최대 전력수요인 8830만kW수준까지 상승하더라도 전력 예비력을 1000만kW이상, 전력 예비율을 11% 이상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했다.
폭염으로 냉방전력 수요가 급증하자 정부는 원자력발전소 가동률을 높이는 식으로 대응하고 있다. 올 1월 원전 예방 정비 등으로 57%에 그쳤던 원전 가동률은 이달 들어 70%대로 상승했다. 지난 23일에는 정비 중인 원전을 다시 가동하고, 정비가 예정된 원전의 정비는 뒤로 미루는 식의 대응도 발표했다. 하지만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24일 국무회의에서 “전력수요 급증에 대한 우려와 원전 가동에 대한 왜곡이 있다”며 “산업부가 전체적인 전력수급계획과 전망, 그리고 대책에 대해 소상히 국민께 밝혀달라”고 지시했다. 백운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역시 25일 예정에 없던 기자간담회를 열고 방송에 출연하는 등 여론전에 나서고 있다.
김종형 객원기자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