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구 수돗물 사태가 논란이 된지 어느덧 한 달이지만 사과와 대책을 요구하는 시민 목소리에 구미시장은 답이 없다.
‘유해물질로부터 안전한 수돗물 대구시민대책회의’는 20일에 장세용 구미시장과의 면담을 구미시에 요청했지만 선약이 있다는 이유로 거절당했고 이후 일정도 바빠 관계국장이 대신 면담을 진행토록 하겠다는 답변을 받았다고 19일 밝혔다. 사실상 수돗물 대구시민대책회의의 면담요청을 완곡히 거절한 셈이다.
대책회의는 “촛불시민의 지지에 힘입어 당선된 경북 최초의 더불어민주당 소속 장세용 구미시장 태도에 심히 실망했다”며 규탄했다. 또 “1991년 페놀사태 이후 현재까지 낙동강 수계에서 발생한 13번의 수질사고 중 9번이 구미공단 유해물질 방류 때문이라는 통계에서 알 수 있듯이 일차적 원인은 구미공단에 있다”고 주장했다.
대책회의는 이번 사태의 원인으로 지목되는 구미공단과 책임자 구미시장의 사과, 대구시민의 안전한 취수원 확보를 위한 방안을 촉구했다.
지난 6월 낙동강 수계의 대구지역 정수장에서 발암 물질이자 환경호르몬 물질인 과불화화합물이 검출돼 논란을 빚었다. 이른바 ‘대구 수돗물 사태’다. 환경부는 해당 정수장에서 검출된 과불화화합물 수치는 선진국 식용수질기준에 훨씬 못 미치므로 건강에 무해하다고 밝혔다. 하지만 정부에 대한 불신과 불안은 해소되지 않았고 생수 판매량은 5~6배 급증하며 품절대란을 낳기도 했다.
대구는 이전에도 몇 번의 수질사고를 겪었다. 1991년 구미 두산전자에서 페놀원액 30톤이 낙동강으로 유입된 일명 ‘페놀사태’를 시작으로 1994년 1월 벤젠·톨루엔이 검출됐다. 2006년 7월에는 퍼클로레이트가 검출됐다.
김혜수 인턴기자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