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혼 직장여성 10명 중 6명, “결혼 계획 없다”

Է:2018-07-04 16:06
ϱ
ũ

한경연, “저출산 해결하려면 일·가정 양립 사각지대 해소해야”


20~40대 미혼 직장 여성 10명 중 6명은 앞으로 결혼 계획이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상적인 자녀수는 2명이라고 생각하면서도 실제 출산을 한다면 한 명만 낳겠다는 결과도 나왔다. 소득과 고용 불안 등 경제적인 문제 탓에 결혼에는 회의적이고 출산에는 소극적인 현상이 지속되는 것으로 분석된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은 이 같은 내용의 ‘2018 저출산 정책에 대한 2040 여성 근로자 인식’ 조사 결과를 4일 발표했다. 여론조사기관 리서치앤리서치가 20~40대 여성 근로자 516명을 상대로 조사한 결과다.

미혼 여성의 경우 앞으로 결혼할 것인지를 묻는 질문에 39.4%만 ‘결혼 할 것’이라고 답했다. 결혼하지 않겠다는 응답은 26.4%, 모르겠다는 응답은 34.3%였다. 미혼 직장 여성의 60.6%는 결혼을 하지 않거나 계획이 없다는 결과가 나온 것이다.

결혼을 계획하지 않고 있는 이유에 대해서는 절반가량은 ‘결혼이 필수가 아니라고 생각해서’(46.3%)라고 답했다. ‘경제적 여유가 없어서’(20.6%), ‘일·생활 균형이 어려운 사회·근로환경 때문’(11.4%) 순으로 이어졌다. 결혼을 인생의 중요한 통과의례로 여기던 전통적 가치관의 변화가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이상적인 자녀수’에 대한 질문에는 2명(63.2%)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3명(16.0%), 1명(13.6%) 순이었다. ‘안 낳는 게 이상적’이라는 응답은 3.9%에 불과했다.

하지만 현실적인 여건을 고려한 자녀수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절반 정도가 1명(47.9%)이라고 답했다. 2명이라는 응답은 33.9%로 나왔다. ‘낳지 않겠다’는 응답도 15.5%나 됐다.

직장 여성들은 저출산의 원인으로 ‘소득 및 고용 불안’(30.6%), ‘사교육비 부담’(22.3%) 등을 꼽았다.

자녀가 있는 직장여성 중 출산휴가에 이어 육아휴직을 사용한 비율은 35.8%였다. 이들이 사용한 평균 육아휴직 기간은 8.9개월이었다. 300인 이상 기업에 근무하는 여성들의 경우 50.0%가 육아휴직을 사용했으나 50~299명인 기업에서는 38.5%, 50인 미만 기업에서는 28.9%로 기업 규모가 작아질수록 육아휴직 이용률도 떨어졌다.

육아휴직 사용 기간도 기업 규모에 따라 차이가 벌어졌다. 300인 이상 기업의 직장인 여성은 평균 11.8개월, 50∼299인 기업은 10.2개월, 50인 미만 기업에서는 5.8개월을 사용했다.


저출산 극복을 위해서는 일·생활의 균형과 조직 문화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필요한 저출산 정책을 묻는 질문에 ‘일·가정 양립 사각지대 해소’(80.0%)가 압도적으로 많았다. 기업이 노력해야 할 사항에 대해서는 ‘출산·육아휴직 등을 자유롭게 쓸 수 있도록 조직 문화 개선’(42.3%), ‘유연근무제나 임산부 단축근무제 등 시행’(25.2%) 순으로 조사됐다.

추광호 한국경제연구원 실장은 “여성 근로자들이 저출산의 원인으로 소득과 고용 불안을 가장 많이 응답한 것을 볼 때 정부는 기업이 더 많은 여성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는 경영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추 실장은 또 “기업들도 저출산 해소와 여성인재 활용을 위해서는 출산·육아휴직을 자유롭게 쓸 수 있는 조직문화 형성에 힘써야한다”고 덧붙였다.

문수정 기자 thursday@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