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명박 전 대통령은 14일 검찰에 출석하며 자신의 혐의와 관련한 언론의 질문에는 아무런 답변도 하지 않았다. 자신을 향한 숱한 의혹들을 인정하지 않겠다는 의미로 보였다.
서울중앙지검 1001호 특수부 조사실에서 검찰의 본격적인 신문이 시작되자 그는 비로소 입을 열었다. “나와 무관한 일이다.”
이날 검찰 조사는 모든 의혹의 시작과 다름없는 자동차부품회사 다스(DAS)의 실소유주가 이 전 대통령임을 확인하는 것으로 시작됐다.
검찰 관계자는 오전 조사 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다스 실소유 문제를) 전제사실로 확정짓고 나가야 조사가 효율적”이라면서 “여러 혐의에 공통적으로 해당되는 부분을 먼저 묻는 게 자연스럽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다스의 BBK투자금 반환 소송 사건에 청와대가 개입한 의혹 등을 수사해 온 신봉수 첨단범죄수사1부장검사가 초반 신문을 맡았다.
그러나 “다스의 실제 소유주시지요”라는 신 부장검사의 질문에 이 전 대통령은 “나와 관계가 없다”며 그동안의 입장을 고수한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앞서 구속 기소한 김백준 전 총무기획관, 이병모 청계재단 사무국장 등 이 전 대통령의 재산관리인들을 조사하면서 확보한 진술과 각종 증거, 자금 흐름 등을 바탕으로 이미 ‘다스는 MB 것’이라는 결론을 내린 상태다. 그러나 이 전 대통령은 검찰이 제시하는 증거 자료에도 ‘모르쇠’로 일관했다.
검찰은 다스 외에 이 전 대통령의 것으로 판단되는 도곡동 땅과 차명계좌 등에 대해서도 사실관계를 추궁했지만 이 전 대통령은 “나의 재산이 아니다”고만 답했다.
다스 자금의 일부가 이 전 대통령 측으로 흘러들어간 정황 등에 대해서도 “형제끼리 있을 수 있는 일”이라는 입장을 견지한 것으로 전해졌다.
사실관계 확인 단계부터 진실 공방이 팽팽했던 것은 다스 실소유주 여부가 이 전 대통령의 핵심 혐의 상당수의 유무죄를 가르는 쟁점이기 때문이다.
삼성의 다스 소송비 70억원 대납 의혹과 다스 운영 과정에서 파생된 300억원대 횡령과 탈세 의혹, 측근들을 통한 다스 횡령·배임 의혹 등이 모두 다스와 직결된다. 당시 대통령의 지위를 이용해 다스의 미국 소송을 지원한 직권남용 혐의 등도 다스와 관련된다. 20개에 달하는 이 전 대통령 관련 혐의 중 절반가량에 달한다. 특히 다스의 소유주로 인정되는 순간 이 전 대통령은 통상 권력자들이 받는 특가법상 뇌물 등의 혐의와 함께 재벌들에게 주로 적용되는 특경가법상 조세포탈, 배임·횡령 혐의를 동시에 적용받게 된다.
다스 실소유 문제를 놓고 팽팽히 다투면서 각종 뇌물 혐의에 대한 본격 신문은 오후 늦게 시작됐다. 이 부분은 이 전 대통령 관련 뇌물 수수 사건 전반 수사를 지휘해 온 송경호 특수2부장검사가 신문을 맡았다. 송 부장검사는 삼성의 소송비 대납 의혹을 시작으로 국정원 특활비 수수 등을 이 전 대통령이 지시했는지 등을 추궁했지만 이 전 대통령은 관련성을 부인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전 대통령은 이날 조사실 가장 안쪽에 놓인 책상에서 검사와 마주앉아 혐의에 관한 질문을 받고 대답했다. 이 전 대통령은 강훈·피영현·박명환·김병철 변호사 등 변호인들의 조력을 받아 검찰의 질문에 적극적으로 답변한 것으로 전해졌다.
조민영 기자 mymin@kmib.co.kr 그래픽=전진이 기자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